본문내용
1. 서론
창의적 문제 해결 전략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해결법을 만들어내는 정신적 과정이다. 이는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한 형태로 어떤 도움을 받기보다는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창의적 문제 해결의 대표적인 도구는 TRIZ로 알트슐러에 의해 제창된 방법론이다. TRIZ는 40가지 발명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본론
2.1.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
2.1.1. 다기능성(Multifunctionality)의 원리를 사용한 사례
대학교 2학년 1학기에 'OOO'이라는 강의를 수강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조별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모든 조들이 6~7명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고, 우리 조도 마찬가지로 6명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다. 첫 날에는 조원 6명 모두가 참석하여 인사를 하고 각자의 역할과 주제를 정하는 등의 순조로운 활동을 진행할 수 있었으나, 하루 하루가 지날수록 조원들이 연락이 잘 되지 않다가 결국에 모든 연락할 수단과 연락처를 차단하고 수업에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다. 그것도 우리 조에 이탈자가 두 명이나 생겨버린 것이다. 한꺼번에 많은 조원이 빠져버려서 다른 조들에 비해 인력이 많이 모자란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 상황에서 나는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역할을 나누었던 것들을 다시 모아 한 사람당 2~3가지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나는 팀의 조장의 역할과 서기, PPT 만들기까지 3가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남들보다 어렵고 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했지만, 결국에는 두 명의 조원 없이도 조별과제를 잘 수행해낼 수 있었고, A0라는 쾌거를 맞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기능성의 원리는 대상물 또는 시스템의 부분이 여러 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만들고 다른 부분의 필요성을 제거하며, 부품과 작업 횟수가 줄고 유용한 특성과 기능은 유지되는 것이다. 이를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사람이 여러 가지 역할을 갖는 것은 충돌하지 않게 잘 조율하고 수행한다면, 충분히 가능하고 문제 해결에 있어서 아주 획기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을 갖고 수행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흔한 일이고, 창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 힘든 상황 속에서 포기한다는 일반적인 생각을 하지 않고, 나아가 '그 두 사람의 몫까지 우리가 해결한다면 조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