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어른의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MZ세대와 시대의 변화
1.2. 청소년 문제의 사회적 현상
2. 청소년 인권 침해 사례
2.1. 학생인권조례 폐지 논란
2.2. 청소년 범죄의 증가와 문제점
3.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위한 어른의 역할
3.1. 촉법소년 연령 기준 조정
3.2. 청소년 상담 및 교화 시스템 구축
3.3.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
4. 결론
4.1. 청소년의 잠재력과 가능성
4.2. 어른들의 관심과 노력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MZ세대와 시대의 변화
MZ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있다. MZ란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엄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세대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즉 '라떼'와는 반대 되는 개념으로 기성세대와는 또 다른 앞으로의 시대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형태로 자리 잡은 요즘의 젊은이들을 의미한다. 신조어로 볼 수 있듯이 시대는 급진적으로 변하는 중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우리가 예상하지 못할 것이다. 2000년대에 이르러 다양한 일상생활이 변화되었고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여러 특징적인 모습들을 보여준다. 가장 특징적이면서 재미난 부분은 선호 직업의 변화이다. 요즘의 초등학생들은 장래희망 1순위에 유튜버라고 기재한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예전처럼 정년을 보장하는 직장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며 AI 기술의 발달로 사람을 대신하여 기계로 작업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이로 인하여 직업의 전망이 바뀌면서 새로운 직업들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선호하는 직업들이 변화되고 있다. 유튜버 외에도 사람이 대체하기 힘든 웹툰 작가를 비롯한 다양한 예술관련 직업이 떠오르고 있는 것 또한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의 과정이다. 뿐만 아니라 수단의 의미로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면서 추가적으로 자신의 취미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또 하나 직업을 가져 삶의 질을 상승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흔히 N잡러라고 하며 이러한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로 '부캐'라는 신조어도 탄생하였다.
1.2. 청소년 문제의 사회적 현상
MZ세대로 대변되는 현대 청소년들은 기존 세대와는 다른 양상의 특징을 보인다.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청소년들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렌드를 추구한다. 이들은 선호하는 직업군에서도 큰 변화를 보이며, 유튜버나 웹툰 작가 등 전통적인 직업과는 거리가 먼 직업을 선호하기도 한다. 또한 다양한 직업을 병행하는 'N잡러'와 같은 새로운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따라 청소년들의 삶의 형태도 유연해지고 있다. 경제 활동을 하는 나이도 제한되지 않으며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현실 속에서 청소년들의 인권 침해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학생인권조례 폐지 논란과 청소년 범죄의 증가를 들 수 있다.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존엄성과 자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조례이지만, 최근 교권 하락과 동성애 조장이라는 이유로 폐지하자...
참고 자료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8915
https://www.news1.kr/articles/5446702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228000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