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순살 아파트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양극화 현상
2.1. 양극화 현상의 정의
2.2. 양극화 현상의 유형
2.3. 양극화 현상의 발생 원인
2.3.1. 경제환경 변화
2.3.2. 문화적 요인
2.3.3. 부동산 가격 상승
3. 양극화 해결을 위한 방안
3.1. 국가 및 사회의 노력
3.1.1. 부의 재분배 정책
3.1.2. 소득 주도 성장
3.1.3. 공공 임대 주택 확대
3.2. 개인의 노력
4. 지역사회복지 이론 적용
4.1. 사회체계이론
4.2. 사회구성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우리 사회는 양극화 현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양극화는 날이 갈수록 심화 되고 있다.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가장 먼저 세계화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경제력 차이에서 양극화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기본적인 소득의 양극화 격차도 커지고 있거나 문화적 요인까지 겹쳐서 주거, 교육, 소비, 의식 등 시민들의 삶 전영역에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외 밖에도 상위 계층 및 하위 계층의 사교육비 차이가 3배 이상 나뿐만 아니라 문화적 측면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상위계층은 다양한 문화를 즐기고 있는데 하위계층은 대중매체가 전달하는 문화를 일방적으로 수용하고 있기만 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앞으로 더욱 사회적 양극화가 대물림되고, 보이지 않는 부의 계급 간을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면 개인 노력으로 인한 성공은 희미해질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의식의 양극화 현상은 한편으로는 절망계급들의 사회적 열패감과 좌절감을 강화함에 있어서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공동체의 기본질서 자체에 대한 회의와 의심도 강화될 것이다.
2. 양극화 현상
2.1. 양극화 현상의 정의
양극화 현상이란 오늘날 서로 다른 집단 혹은 계층의 형편이 갈수록 벌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잘사는 사람은 앞으로 더욱 잘살게 되고, 못사는 사람은 더욱 못살게 된다는 것을 일컫는 말로, 한자로는 "부익부 빈익빈"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1997년 IMF 시기에 한국사회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현대사회에서는 다차원적으로 확대되고 발달하고 있다. 최근에는 비정규직의 증가로 인한 소득 불평등의 심화, 부동산을 매개로 한 자산 소득에서의 불평등으로 인한 주거 지역의 양분화 현상, 대학 서열화와 지방대 차별로 인한 교육 영역의 양극화 등이 대표적인 양극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2.2. 양극화 현상의 유형
양극화 현상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양극화이다.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대표적인데, 경제력을 갖춘 상위계층의 소득과 자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하위계층의 소득과 자산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자본주의 제도 자체의 속성에서 비롯되는데, 능력 있는 사람이 돈, 권력, 지식, 정보 등을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이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경제적 격차는 부동산 가격 상승, 교육 기회의 차이 등으로 이어져 경제적 양극화를 더욱 악화시킨다""둘째, 지역 간 양극화이다. 인구 유출과 함께 경제력 격차가 커짐에 따라, 도시 간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과 지방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데, 서울의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인해 청년층을 중심으로 서울에서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
참고 자료
공용, 2011, 사회문제, 사회의 소득양극화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김문조,집문당,2008 '97년 외환위기와 사회불평등』
김성희,『내일을 여는 역사』 제41호,2010)「노동해도 삶의 희망이 없다: 비정규화,노동빈곤,양극화」
이병훈 외,창비,2008, 한국사회의 양극화
이병훈,시민과 세계, 제17호, 2010, 노동 양극화와 연대의 위기 활로는 있는가
『인간과사회』 교재(2021) 등
정익중, 이소희 외 3명(2021) - 「청소년복지론」. 학지사
송수지(2019) - 「청소년 심리이해 및 사례분석」
조영숙(2018) -「청소년 복지 연구」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정책뉴스, 2021.12.24. 1인 가구 전체의 31.7%... 절반 이상이 미혼
연합뉴스, 2021.7.29. 10가구 중 6가구는 1인, 2인 가구.. 20대 127만 명 ‘나 혼자 산다’
서울경제, 박경훈, 2022.1.9. “집값 비싸 못살겠다” 脫서울 10년래 최대
이코노믹 리뷰, 우주성, 2020.4.29. 소형 평형 관심 높아졌다... 1인 가구 및 실수요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