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DI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DI)의 개요
2.2. DI 환자 사례 소개
2.3. DI 환자의 임상증상 및 중독증상
2.4. DI 환자의 진단 및 검사
2.5. DI 환자의 응급처치 및 약물치료
2.6. DI 환자의 간호문제 도출 및 간호과정
3. 결론
3.1. DI 환자 간호에 대한 느낀점
3.2. 향후 간호사로서의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약물 중독(Drug Intoxication, DI)은 과량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약물을 남용하여 발생하는 상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연간 10만 명 내외의 약물 중독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가 자살 목적으로 약물을 과다 투여하거나 의도적으로 오용한 경우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약물 중독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빈도가 높으며, 사망률도 높은 편이다. 이에 약물 중독에 대한 이해와 함께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물 중독의 개요와 특성, 진단과 처치, 간호 과정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DI)의 개요
약물중독(Drug Intoxication, DI)은 과량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남용에 의해 발생되는 상태이다.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를 말한다.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약물, 화학물질, 농약 등 독성물질 노출에 의한 국내 중독환자 발생은 연간 10만 명 내외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약물중독의 남성 비율은 44.6%, 여성 비율은 55.4%로 나타나고 연령별 비율은 20대, 70대 이상, 50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독이유는 의도적 중독(자살 목적, 의도적 오용 등)이 전체의 66.1%로, 환자 3명 중 2명이 의도적으로 중독물질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 원인 물질은 치료약물(50.8%), 가스류(13.6%), 자연독성물질(12.4%), 인공독성물질(12.2%), 농약류(10.0%) 순으로 나타났지만 10대의 경우 80.5%가 치료약물(아세트아미노펜, 벤조디아제핀계 등)에 의해 중독 발생이 높았고 70대 이상에서는 농약류에 의한 중독이 29.9%로 가장 높았다. 이 중독 사례 중에서 사망사례는 122명으로 전체 조사대상자의 1.6%에 해당했다. 사망자의 연령대는 70세 이상(63.9%), 60대(14.8%), 50대와 40대(각각 5.7%)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이 71.3%로 여성(28.7%)보다 많았다. 그리고 사망환자의 중독물질은 농약류(66.4%)가 가장 많았다. 현재 약물중독에 대한 발생률도 높아지고 있고 이로 인한 자살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고 의료인들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2.2. DI 환자 사례 소개
본 사례는 60세 남성 환자로, 남동생에게 의미심장한 문자를 보낸 후 연락...
참고 자료
성미혜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
김독옥, 윤희장, 이경희 외, 사례를 통해 배우는 응급과 재난간호학, Pacific Book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약학정보원 / http://www.health.kr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https://blog.naver.com/all_my_loving/223219674019 응급진료 메뉴얼
https://blog.naver.com/dpqjspqj00/222821792869 위세척 방법
김금순 외 8명. 근거기반 중환자 간호 (2015), 수문사
중환자실 실무역량 평가도구 (2018). 병원중환자간호사회.
이상봉 외.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세트. 바른의학연구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VOLUME 2(8판). 정담미디어
군자출판사 학술국, 성인간호학 VOLUME 2(12판), 군자출판사
신나미 외. 성인간호학 임상적 추론의 적용(6판). 정담미디어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하(수정판). 현문사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현문사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12판). 학지사메디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