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원더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원더 소개 및 선택 이유
1.2. 영화의 줄거리 요약
1.3.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에 대한 문헌 고찰
2. 어거스트 풀먼의 건강문제와 간호진단
2.1.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의 정의와 원인
2.2.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의 증상
2.3.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2.4. 어거스트 풀먼의 간호진단과 계획
3. 비아의 건강문제와 간호진단
3.1. 신체상과 관련된 만성적 자존감 저하
3.2. 가족 및 사회적 관계 결손과 관련된 외로움
4. 어기의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간호진단 및 계획
4.1. 부모의 잘못된 가족관계와 관련된 부모 역할 향상
4.2. 미란다의 가정내 불화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
5. 결론 및 제언
5.1. 느낀 점 및 배운 점
5.2. 간호사로서의 역할과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원더 소개 및 선택 이유
본인의 친언니는 지적장애인이다. 어렸을 때부터 언니의 영향으로 장애와 관련된 미디어에 많이 노출되었고, 그만큼 관련된 영화와 드라마도 많이 시청했다.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도 본 영화 '원더'를 선택한 이유는 다른 영화들과는 달리 장애인을 둔 형제자매의 시선을 다루었으면서도, 그 형제자매의 모습에서 나와 닮은 면을 상당히 많이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평범하지 않은 모습을 지닌 언니는 본인보다 8년 일찍 태어나, 이미 모든 가족의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었다. 어렸을 때부터 이런 언니를 이해해주고, 사랑해주어야 한다는 환경에서 자랐기에 부모님과의 시간을 양보해주는 것 또한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평범한 친구들과는 다르게 장애인 언니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부끄러워, 친구들에게 본인을 외동이라고 속인 적도 있었다. 이처럼 영화 '원더'에서 등장하는 장애아의 누나(이하 '비아') 또한 이와 똑같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습에서 정말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처음 영화 '원더'를 시청했을 때에는 단순히 장애아 주인공(이하 '어기')을 대상으로 벌어지는 학교 내 왕따 사건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졌고, 장애인들을 절대로 무시하거나 놀려서는 안 된다는 교훈만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아동간호를 배우는 간호학생의 입장에서 해당 영화를 다시 시청해보니, 만일 어기의 전반적인 삶을 옆에서 지켜볼 수 있는 간호사라면 어떠한 간호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어기의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간호진단과 계획을 수립해보려고 한다.
1.2. 영화의 줄거리 요약
영화의 줄거리 요약이다. 영화 '원더'는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이라는 안면기형의 선천적인 희귀 질병을 갖고 태어난 '어기'의 이야기이다. 어기는 초등학교 5학년 때 홈스쿨링을 종료하고 학교에 입학하게 되며, 처음 학교에 등교하며 본인을 괴물 대하듯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방에만 박혀있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사회에 나가 친구들을 만나고 그들과 진정한 우정을 주고받으며 성장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어기를 둘러싼 가족(어기의 부모, 어기의 누나), 친구(잭, 줄리안) 등의 주변 인물들의 다양한 입장 또한 함께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어기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좋은 친구들과 관계를 맺으며 졸업식 날 상을 받게 된다.
1.3.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에 대한 문헌 고찰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은 하악 안면골 형성부전증 중 하나로, 특정 머리뼈 부위의 발달부전으로 인해 머리뼈와 얼굴 부위에 뚜렷한 기형을 가지는 유전적 질환이다. 발병 빈도는 2만 5,000명에서 5만 명당 한 명이며, 약 40%는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남녀 모두에게 같은 빈도로 발생한다.
증상은 환자마다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주된 증상으로는 머리와 얼굴 부분의 독특한 기형, 눈 이상, 귀의 구조적 이상, 그리고 난청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좌우 대칭적이고, 출생 시부터 나타나며, 지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프란체스쉐티와 클라인은 해당 증후군을 발현 정도에 따라 완전형, 불완전형, 돈좌형, 일측형, 이형형 총 5가지로 분류하였다.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은 특징적인 외모와 임상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TCOF1의 유전자 검사로 90% 이상의 환자에게서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있다. 치료는 소아과, 머리와 목의 외과, 치과 전문의, 언어 병리사, 청각학자, 안과의사, 이비인후과, 건강관리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 의료팀이 협동하여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안면 기형 교정술은 개개인의 기형 정도에 따라 다양한 수술 방법이 사용되며, 5~7세 경에 주로 시행한다. 정기적 검사와 유전 상담도 필요하다.
2. 어거스트 풀먼의 건강문제와 간호진단
2.1.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의 정의와 원인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은 하악 안면골 형성부전증 중 하나로, 특정 머리뼈 부위의 발달...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질환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https://raredisease.snuh.org/ko/%ED%8A%B8%EB%A0%88%EC%B2%98-%EC%BD%9C%EB%A6%B0%EC%8A%A4-%EC%A6%9D%ED%9B%84%EA%B5%B0/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18
Ginger Jensen-Steed. (2011). Treacher Collins syndrome: a case review. Advances in Neonatal Care 11(6), 389-394.
김윤희, 이정주, 윤석화, & 이정은. (2002). 굴곡성 기관지경을 이용한 Treacher-Collins 증후군 환아의 기관내 삽관. 대한마취과학회지 42, 841-843.
정미영, 송호경. (2011). 기관내 삽관 후 환형의 기관 갈퀴막 형성으로 인한 기도 폐쇄. Anesth Pain Med 6, 349-352.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 양영옥.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NANDA-I 간호진단목록 (pp.340-350). 수문사.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 총론, 김영혜 외, 현문사
신유림. (2020).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관계에서 친사회성, 친구 수 및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9(5), 605-614.
오상은. (1999). 만성질환아의 신체상과 자존감에 관한 연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3(2), 165-175.
유안진, 이점숙, & 김정민. (2005).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23(5), 123-132.
김춘실, 김희진, & 천성문. (2009).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12(1), 13-28.
서울아산병원 트리처 콜린스 증후군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