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농흉은 흉막강 내 고름 축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폐렴, 폐농양, 흉부 외상, 식도 파열, 흉부 수술 후 이차 감염 등이 원인이 된다. 증상으로는 발열, 호흡곤란, 기침, 흉통 등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흉부 영상 검사와 흉강 천자를 실시한다. 급성기에는 항생제와 배액 처치를, 만성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간호에서는 효과적인 배농, 감염 관리, 영양 관리 등이 중요하다. 농흉의 예후는 원인 질환과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전문의와 상담하며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농흉(Empyema)은 흉막액에 육안으로 화농성(고름)이 확인되거나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이다. 흉막강이 오염되면서 발생하는데, 주로 폐결핵, 폐렴, 폐농양, 늑막염, 흉부 외상, 흉부 수술 후 이차 감염, 횡격막하 농양, 자발성 기흉의 합병증 및 전신 패혈증 등이 그 원인이 된다. 과거에는 폐렴구균과 연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으나, 현재는 포도상구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바뀌었다. 만성 농흉은 흉막강내의 이물질, 기관지-흉막 누공, 결핵 또는 늑골 결핵 등이 원인이 된다.
2.2. 원인
농흉의 약 50%는 폐의 일차적인 병변으로 인해 흉막강이 오염되면서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폐결핵, 폐렴, 폐농양, 늑막염, 흉부 외상, 흉부 수술 후 이차 감염, 횡격막하 농양, 자발성 기흉의 합병증 및 전신 패혈증 등이 있다. 급성 농흉은 보통 항생제로 치료되어지는데 과거에는 농흉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폐렴구균과 연쇄상구균이 손꼽아졌으나 현재는 포도상구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바뀌었다. 만성 농흉은 대개 급성 농흉을 불완전하게 치료한 결과 발생한다. 만성 농흉은 흉막강내의 이물질, 기관지-흉막 누공, 결핵 또는 늑골 결핵 등이 원인이 된다.
2.3. 병태생리
농흉의 병소 크기는 아주 적은 부위에서 전체 흉막강까지 다양하다. 삼출액은 묽은 것도 있고 짙은 고름도 있다. 흉막 외관은 정상으로도 보이고 오랫동안 감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거칠게 변하거나 두꺼워진다.
급성 농흉은 세 단계로 진행하는데 첫 단계는 삼출성 단계로 묽고 백혈구가 적은 삼출액이 나오는 흉막 삼출증의 단계이고 둘째 단계는 섬유소성 화농성 단계로 백혈구가 증가하고, 섬유소가 출현하며, 농이 고인다. 셋째 단계는 조직화단계로 두꺼운 삼출성 막으로 변하며 유착이 발생하여 폐에 고정된다.
만성 농흉은 흉막이 두꺼워지고 끈기 있는 삼출물이나 섬유성 조직이 폐와 흉벽을 유착시키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탄력성이 없는 막으로 둘러 쌓인 폐는 쉽게 팽창되거나 수축되지 않아 환기가 나빠진다. 흉막 섬유증은 병소 부위가 쭈그러들어 보이며, 종격동내의 기관이 병소 쪽으로 당겨져 이동하여 척추측만증이 나타난다. 또한 흉곽과 폐 사이에 농이 고인 여러개의 공동을 볼 수 있다.
2.4. 증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오한, 호흡곤란 등이 있다. 때에 따라서는 기침, 흉통, 전신 권태감, 중독성 순환기능장애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보통 병변이 있는 쪽의 흉곽이 무겁고 조이는 듯한 흉통을 호소하며, 종종 기침을 동반한 전신 무력감과 열이 생길 수 있다. 호흡 곤란을 동반한 빈호흡, 빈맥도 나타난다. 드물게는 기침할 때 화농성 객담(또는 냄새가 동반된 가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