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부전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부전 문헌고찰
1.1. 정의
1.2. 원인 및 위험요인
1.3. 증상
1.4. 진단
1.5. 치료
1.5.1. 내과적 관리
1.5.2. 투석치료와 간호
1.5.3. 신장이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부전 문헌고찰
1.1. 정의
만성 신부전은 노폐물을 제거하는 신기능이 감소되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단계에 있는 질환이다. 즉, 신장이 제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남아 있는 신장 기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저하되어 결국은 신 대체요법(투석이나 신이식술)이 필요한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검사 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 상 이상이 관찰되며, 사구체여과율이 90mL/분을 초과한다. 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되며, 사구체여과율이 60~89mL/분이다. 3단계에서는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30~59%로 감소하며, 사구체여과율이 15~29mL/분으로 심하게 감소한다. 4단계에서는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29%로 감소하고, 5단계에서는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 이하로 심하게 감소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만성 신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 그리고 사구체신염이다. 이 세 가지 질병은 성인에서 만성신부전증을 일으키는 전체 원인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신장질환은 질병이 발생한 병변이 해부학적으로 어디냐에 따라 분류된다. 첫째, 혈관성 신장의 혈관이상 또는 혈액공급의 차질로 인해 신장이 손상된 것으로, 저혈압, 쇼크상태, 심한 탈수증 등의 전신적인 혈액순환 장애에 의해 신장에 혈액공급이 저하되거나 신동맥과 신정맥처럼 큰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신장 내부의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사구체성 질환으로 사구체...
참고 자료
황옥남, 유약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박효미, 엄미란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조동규(2001). 급성 신부전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 제 61권 제 4호 2001. 350-354
우혜주(1992).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관리. 대한신장학회지: 제 11권 부록 6호 1992. 109-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