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스만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설명 및 지역사회개발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방화 시대의 지역사회복지
1.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
2. 본론
2.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모델
2.1.2. 사회계획 정책모델
2.1.3. 사회행동모델
2.2.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실제 사례
2.2.1.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특징
2.2.2. 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 사례
2.2.3. 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 사례 분석
2.2.4. 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 사례에 대한 의견
3. 결론
3.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요약
3.2.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효과적 활용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방화 시대의 지역사회복지
지방화 시대에 지방정부와 지역주민들의 역량은 해당 지역사회를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과 직결되어 있다. 이는 지방화 시대에 지역사회복지가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지역사회복지 실천은 개인문제, 가족문제, 집단문제, 이웃들 문제, 지역사회문제 등과 같이 상호관계 속에 존재하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해결역량을 갖추고 개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중 로스만의 모델은 지역사회복지실천 활동을 단일한 형태가 아닌 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사회행동으로 구분하여 접근한다.
1.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
현대 사회에서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지역사회복지는 개인, 가족, 집단, 이웃, 지역사회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해결 역량을 갖추고 개입하는 것이다. 이는 지방화 시대에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을 중심으로 실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정부와 지역주민들의 역량은 해당 지역을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데 직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사회복지 실천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본론
2.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2.1.1. 지역사회개발모델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리더십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개선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특징이다. 이 모델은 민주주의, 자발적 협력, 지역사회 자체의 지도자 개발을 기반으로 한다. 이 모델은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를 강조하며, 풀뿌리조직의 구성원들로부터의 접근을 중요시한다.
지역사회개발모델의 목표는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 공동체 활동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역량 강화 및 자원 동원과 네트워크 형성을 중요시한다. 즉, 지역주민들이 협력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장려하며, 다양한 지역사회 단체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지역사회개발모델의 특징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복지 증진을 위해 매우 효과적이다.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 강화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며, 협력과 네트워크 형성으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증대된다. 또한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로 행정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개발모델은 지역사회의 발전과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평가되며, 현실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주민들의 ...
참고 자료
엄태영 저, 지역사회복지론, 도서출판 신정, 2024
홍봉수, 강해자 외 3명 저,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24
김흥주 저, 지역사회복지론(이론.현장.사례), 신정, 2023
최선희 저, 지역사회복지론(커뮤니티실천의 정체성 · 이론 · 실천사례),지식터, 2023
우수명, 주경희 외 2명 저, 지역사회복지론, 지식터, 2023
조추용, 김양이 외 2명,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23
김윤배, 배의식 외 3명 저,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