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저혈압의 임상적 특징
1.1.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이 신체의 대사 요구에 적절한 양의 혈액을 전신순환으로 보내지 못하는 상태이다. 우심실의 기능 저하로 인해 우심실의 이완기말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중심정맥압이 증가하며 전신 정맥혈 울혈이 된다. 또한 좌심실의 기능부전으로 좌심실의 이완기말압이 상승하여 결국 좌심방과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폐는 혈액으로 울혈되며, 폐에 가중되는 압력이 증가하여 폐부종이 발생한다. 실제 임상에서는 양쪽 심부전의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 흔하다.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 양상은 심근 기능 장애, 폐울혈, 전신정맥 울혈 등이 나타나며, 진단은 휴식기 빈 호흡, 빈맥과 호흡곤란, 견축, 활동내구력 약화, 수분 축적에 의한 체중증가, 간비대증 등의 증상을 기초로 한다. 흉부 X선 촬영, 심전도, 심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치료의 목적은 심장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수분과 염분의 축적을 감소시키며,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조직의 산소화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산소소모량을 줄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디기탈리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이뇨제, 산소 공급 등의 약물 및 처치가 이루어진다.
간호중재로는 체액 과잉 최소화, 심장 기능 증진, 후부하 감소, 심장부담의 감소, 호흡곤란 완화, 영양상태의 유지, 환아와 가족의 지지 등이 있다. 체액 과잉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뇨제 투여 효과를 확인하고 섭취량, 배설량,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심장 기능 증진을 위해 디곡신을 투여하며, 후부하 감소를 위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를 사용한다. 심장부담을 줄이기 위해 영아에게 3시간마다 자주 조금씩 수유하고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호흡곤란을 완화하기 위해 산소 투여, 체위 변경 등의 처치를 한다. 또한 수유가 어려운 영아에게는 비위관 영양을 제공하여 적절한 칼로리를 유지한다.
1.2. 저산소혈증
저산소혈증(hypoxemia)은 동맥혈 산소분압(Pao2)이 정상 이하로 낮아진 상태를 의미하며, 산소포화도(SaO2)의 감소나 동맥혈 산소분압의 감소로 알 수 있다. 저산소증(hypoxia)은 조직의 낮은 산소포화도와 산소분압으로 일어난 조직의 산소감소이다. 청색증(cyanosis)은 산소포화도의 감소로 점막, 피부, 손톱 밑이 청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저산소혈증이라도 모두 청색증을 보이는 것은 아닌데, 청색증은 산소포화도와 헤모글로빈 2가지에 의해 모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체는 만성저산소혈증에 대한 반응으로 다혈구혈증(polycythemia)과 가락가락곤봉증(clubbing fingers) 2가지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다혈구혈증(polycythemia)은 적혈구 수의 증가로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다혈구혈증은 혈액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고 혈소판과 다른 응고 원소들이 잘 뭉치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가락곤봉증(clubbing fingers)은 손가락과 발가락 끝이 두꺼워지고 평평해지는 것으로, 조직의 만성저산소혈증과 다혈구혈증 때문에 발생한다.
무산소발작(hypercyanotic spell)은 팔로 4징후 영아에서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blue spell이나 tet spell로도 불리며, 폐혈류의 폐쇄와 심실 사이의 교통이 있는 심장 결손을 가진 아동에서 발생한다. 영아는 매우 빠르게 청색증과 무산소상태가 되는데, 이는 갑작스러운 누두부경련으로 폐혈류 감소와 우좌단락의 증가 때문에 발생한다.
청색증의 원인이 심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폐질환으로 인한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산소과다검사(hyperoxia test)를 시행한다. 영아를 100%의 산소 환경에 두고 혈액가스검사를 한다. PaO2 100mmHg 이상이면 호흡기계 질환을 의심할 수 있고 PaO2가 100mmHg이하이면 심질환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