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입학식 시나리오
1.1. 개요
입원 당시 17세 여성 환자 김OO은 신경성 식욕부진 진단을 받았다. 14세부터 모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또래보다 큰 키에 자신도 모델이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되었다. 고등학교 입학 후 체중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음식을 섭취하고 나서는 토하거나 설사약을 먹는 등의 행동으로 극심한 다이어트를 하였다. 이로 인해 무월경 증상이 나타나 어머니와 병원에 내원하였고, 현재 신장 173cm에 몸무게 43kg으로 매우 마른 체형이나 자신은 50kg대 몸무게가 되면 뚱뚱해질 것이라고 왜곡된 신체상을 보이고 있다. 입원 시 저나트륨혈증 소견이 있어 수액 치료를 받고 있다.
1.2. 환자 정보
김OO은 17세 여성으로 고등학생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을 진단받았다. 신장 173cm에 몸무게 43kg으로 매우 마른 체형이지만 자신은 50kg대 몸무게가 되면 뚱뚱해질 것이라고 생각하며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다. 식사와 약물 복용을 거부하여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입원 시 저나트륨혈증으로 N/S 1L IV 유지 중이다. 약물 처방으로는 식염포도당, 리보트릴, 올란자핀, 럭스푸람, 로라반, 마그밀이 있다.
1.3. 시나리오 학습 계획
주제에 관련된 정신간호자료를 사정하여 주제에 맞는 간호문제와 해결방안을 작성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상자와 간호사 역할극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료적 과정에 알맞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시나리오에 부합하는 간호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전체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이 과정을 통해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의 특성과 간호중재 방법을 종합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1.4. 의무기록 분석
입원 초기부터 대상자는 점심 투약 시간에 약을 빤히 바라보기만 하고 복용하지 않았다. 자신은 왜 하루에 네 번이나 약을 먹어야 하느냐, 왜 일부러 많이 먹게 하느냐며 화를 냈다. 간호사는 저나트륨혈증으로 복용하는 약이며 혈액검사결과상 정상 수치가 나오는 경우 복용이 중단될 약임을 설명하였다.
매 식사시간마다 반찬 뚜껑을 열어보지도 않고 밥을 한숟가락 떠서 젓가락으로 밥을 한알 한알 먹었다. 치료진이 보이지 않으면 밥을 다 버리고 먹었다며 거짓말을 하였다. 식사시간 외에는 물을 매우 많이 마셨는데, 이로 인해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하고 경련 위험이 높은 상황이었다. 간호사는 이를 설명하였으나 대상자는 샤워를 한시간 이상 하는 등 치료진을 피해 계속해서 물을 많이 마셨다.
수액 주입을 유지하는 것에 불만을 표현하며 살찌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몰래 좌약을 반입하여 사용하려 하였으나 보호자가 이를 알려주어 좌약 사용은 막을 수 있었다.
1.5. 학습 목표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의 신체적 증상에 대해 이해한다.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의 행동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심각한 전해질 및 영양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한 영양간호를 수행한다. 섭식장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행동처방에 대해 수행한다.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는 체중증가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으로 인해 식사를 거부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심각한 저체중 상태와 함께 전해질 및 영양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들은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어 정상적인 체중 유지가 어려우며, 식사 거부 및 구토, 설사 등의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인다.
따라서 신경성 식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