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수술실에서 이루어지는 편도절제술은 편도 질환으로 인한 반복적인 불편감과 합병증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처치이다. 편도는 구강 및 인두에 위치하며, 상기도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을 하는 중요한 림프조직이다. 하지만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편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편도절제술은 이러한 편도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법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편도절제술의 세부적인 과정과 간호 중재를 살펴보고자 한다.
2. 편도선의 구조와 기능
편도선은 목의 안쪽과 코의 뒷부분에 위치하며, 사람의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편도선은 림프조직의 중요 부분으로, 구강, 인두, 후두, 기관, 폐에 침입하는 감염을 막아주며, 항체 형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편도선의 구조는 크게 네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구개편도, 설편도, 인두편도, 귀인두관편도가 그것이다. 구개편도는 일반적으로 편도선으로 불리는 부분으로, 구인두의 양쪽에 위치하며 길이는 20-25mm, 폭은 15-20mm, 깊이는 12mm, 무게는 1.5gm 정도이다. 설편도는 혀의 뒤에 위치하며, 인두편도(아데노이드)는 인두의 천정부에 위치한다. 귀인두관편도는 인두의 천정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편도선들은 우리 몸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주요 기능으로는 방어 기능, 조형 기능, 내분비 기능, 비타민 생성 기능, 소화기 기능 등이 있다. 특히 편도선은 외부에서 침입하는 세균 등의 물질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편도선은 사람의 건강과 생명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3. 편도 질환
3.1. 편도염
편도염은 편도선 내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균은 β-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이며, 감기, 과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몸의 저항력이 떨어진 경우 발생하기 쉽다.
급성 편도염의 경우 40도 가까운 고열, 인후통, 편도선 발적 및 종창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 전신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만성 편도염은 증상이 경미하지만 편도 비대, 통증 등이 관찰된다.
편도염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신체 검진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균 배양 검사나 인두 도말 검사로 감염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합병증 의심 시 혈액 검사나 CT 촬영 등을 시행한다.
보존적 치료로는 휴식, 수분 섭취, 증상 조절을 위한 소염진통제 복용 등이 있다.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항생제 치료를 고려한다. 만성 편도염의 경우 편도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3.2. 편도주위농양
편도주위농양은 반복적인 급성편도염에서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았을 때, 편도주위 조직에 농이 고이는 질환이다. 대개 일측성으로 발생하지만 때로는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양측성인 경우 일측성이 선행한다.
주요 원인은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의 감염이며, 급성 구개편도염 또는 치아 질환에 연발해서 염증이 구개편도의 피막주위에 파급되어 농양을 형성한다. 주로 편도상극에 호발한다.
자각적으로 연하통이 심하고 연하 시 이부 또는 경부까지 통증이 전달된다. 또한 익상근의 경련으로 인해 개구장애가 나타나며, 고열, 구취, 두통, 타액분비 과다, 식욕 감퇴 등을 동반한다. 구개편도주위의 발적과 종창이 현저하고, 하악각 림프절은 종창되어 압통이 있다.
농양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