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진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1.1. 뇌의 구조와 특성
1.2.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1.3.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원인
1.4.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증상
1.5.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진단검사
1.6.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치료
1.7.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간호
2. 사례보고서
2.1. 간호 정보조사
2.2. 간호과정
2.2.1. 타박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2.2.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2.2.3. 치료와 관련된 불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1.1. 뇌의 구조와 특성
대뇌는 2개의 반구로 이루어진 뇌수의 커다란 부분이며, 고도의 신경기능(운동, 언어 등)을 담당하는 중앙 관제소가 들어있다. 뇌활몸통은 신경세포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들보 아래에 있는 흰색 물질의 판으로, 해마와 시상하부를 연결시킨다. 투명사이막은 얇은 이중막으로 2개의 대뇌 반구 앞부분을 분리하고 뇌들보로부터 뇌활몸통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각교차는 오른쪽과 왼쪽 눈의 시신경이 서로 연결되어 생긴 구조로, 두 신경섬유가 부분적으로 교차한다. 뇌하수체는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는 샘으로, 성장, 젖의 분비, 혈압, 항이뇨 등의 기능을 돕는다. 솔방울샘은 주로 생체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멜라토닌)을 분비하는 샘이다. 다리뇌는 신경섬유로 구성된 뇌의 몸통 가운데 일부로, 뇌, 작은되, 숨뇌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며 호흡을 돕는다. 숨뇌는 척수가 연장된 뇌줄기의 일부로, 주로 호흡, 혈액 순환, 심장의 운동 등을 제어한다. 소뇌는 주로 운동 협응, 평형 유지, 근육 긴장, 자세 등을 제어하는 뇌수의 일부이며, 뇌들보는 신경세포 다발로 이루어진 흰색 물질의 얇은 판으로 2개의 대뇌 반구를 연결한다. 이처럼 뇌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지니고 있어 인체의 중요한 기관이라 할 수 있다.
1.2. 뇌진탕과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뇌진탕은 머리에 충격이 비교적 약하게 가해졌을 때 부종과 출혈처럼 뇌의 육안적인 변화는 초래되지 않았으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동시다발적인 신경세포들의 기능이상으로 몇 초에서 몇 분 동안 일시적으로 뇌기능의 감소 혹은 소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넘어지거나 교통사고, 몸이 격렬하게 부딪히는 운동으로 인한 사고 후에 신경세포의 손상(축삭의 손상)이 생겨서 신경전달물질이 교란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뇌에 외부적인 충격으로 단단한 두개골 안에 뇌가 흔들리면서 일시적인 뇌기능부전을 일으키게 된다. 뇌가 단단한 두개골 안에서 움직이면 뇌간에서 반동이 일어나고 회전하면 미만성 축삭 손상이 일어난다. 뇌가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두개골의 안쪽 면으로 움직여 멍이 들거나 찢어진다. 흔히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발생하며 대뇌와 표면에서 발생한다.
지주막하출혈은 혈류자극증가로 혈관내벽 손상, 혈류교란, 진동으로 혈관벽 약화, 혈관벽 두께 감소, 동맥류 크기증가 등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혈액은 뇌와 두개골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것은 뇌와 뇌척수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뇌 척수액과 혼합된다. 이로인해 뇌 주위의 압력이 증가하고 뇌압 상승으로 인해 뇌의 기능을 방해하게 되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한다.
뇌진탕은 머리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기계적 힘이 가해져 발생할 수 있으며, 뇌동맥류의 파열이 주요 원인인 지주막하출혈은 크게 자발성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뉜다. 뇌진탕의 주요 증상은 의식 소실이며, 지주막하출혈의 특징적인 증상은 구토...
참고 자료
황옥남 외 8명 (2018), 성인간호학(상), (236~282), 현문사
기초간호학회 (2015), 핵심 인체 구조와 기능, (305~346), 수문사
원종순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103~111
약학정보원, (2020.08.10.), http://www.health.kr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외 8명,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사이트
기본간호학 1, 2, 양선희 외 8명, 현문사
http://edition.cnn.com/2009/HEALTH/01/26/athlete.brains/index.html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5/2015122502512.html
https://hineca.kr/m/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