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동모금회프로포절 이주여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력 향상 필요성
1.2. 한국 문화체험 프로그램 도입 방향
2.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 현황
2.1. 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
2.2.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에서의 갈등
3. 한국 문화체험 프로그램 구성
3.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2. 프로그램 대상 및 내용
3.3. 프로그램 운영 방식
4. 프로그램 투입 자원
4.1. 인적 자원
4.2. 물적 자원
5. 프로그램 활동
5.1. 한국어 교육
5.2. 한국 문화 교육 및 체험
5.3. 가족 교육 및 상담
6. 프로그램 성과
6.1. 단기 성과
6.2. 중기 성과
7.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
7.1. 지역사회 내 이주여성의 적응력 향상
7.2. 다문화 가족의 기능 강화
8. 결론 및 제언
8.1. 프로그램 운영의 시사점
8.2. 추후 발전 방향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력 향상 필요성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력 향상 필요성이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 가정에서 이주여성들이 겪고 있는 많은 어려움이 부각되고 있다. 이들은 낯선 언어와 문화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의사소통의 문제와 가족관계에서의 갈등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의 경우 이주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심각하여 이들의 한국 사회 적응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이 한국 문화와 생활에 원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주여성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서 이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리잡아 갈 수 있을 것이다.
1.2. 한국 문화체험 프로그램 도입 방향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과 통합을 위해 이들에게 다양한 한국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이주여성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문화체험 프로그램은 이주여성들이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와 관습을 직접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전통놀이, 의식주 체험, 문화유적지 탐방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과정에서 이주여성들이 상호 교류하고 소통하면서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정착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이주여성의 가족들도 함께 참여하는 문화체험 활동은 가족 간 유대감을 강화하고, 다문화 가정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안정적인 정착과 건강한 가족관계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한국 문화체험 프로그램은 이주여성의 능동적 사회참여를 유도하고, 지역사회 내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이주여성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력을 높이고, 나아가 다문화 가족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2.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 현황
2.1. 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
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이다.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문화적 갈등과 가정폭력 등 이중고를 겪는 이주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이주여성들은 결혼한 지 1년 이내에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주자들이 한국 문화를 일방적으로 따르게 하지만 상대국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없기 때문에 가정폭력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주여성들은 생활방식, 문화차이, 관습 등의 문제로 한국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주여성들은 한국인과 다른 문화, 가치관, 습관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로 인한 부적응 문제는 이주여성들의 생활과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에서의 갈등
부부관계와 가족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갈등이 이주여성들이 겪는 주된 문제점이다. 결혼과 동시에 임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문화와 음식 등의 차이에서 오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에 임신으로 인한 고통까지 겹치면서 이주여성들은 배가된 어려움에 시달리게 된다.
이런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이주여성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등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이질적인 문화 환경에 노출된 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에 대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한 결과이다.
한국인 남편들의 경우 외국인 아내를 '아내'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가정부'나 '성적 파트너'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권위적이고 불평등한 사고방식이 가정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언어가 통하지 않아 구타를 일삼고 모멸감을 주는 말 등의 정신적 학대도 자행되고 있다.
이처럼 충분한 준비 없이 성사된 국제결혼은 이주여성에게 갈등과 인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상호 이해와 소통의 부족,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족관계의 갈등은 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고 부부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한국 문화체험 프로그램 구성
3.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이 프로그램은 한국에 거주 중인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국 문화와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이주여성들이 겪는 문화적 차이와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주여성들의 한국 사회 적응을 도와 지역사회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참고 자료
고상두(2012),『이주자 사회통합모델의 비교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6권 2호, 241-264
구향숙(2013),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 45권, 83p~112p
김연수(2011),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 개발연구』, 여성연구학회, 제 81권 제 2호, 103~146
김영란(2008),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담론 제 11권 2호, 103p~138p
김영심 외(2014),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 27권 2호, 173p~195p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2013), 금융이해력 측정도구 개발 및 예비조사
박덕숭(2012),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탐구』, 한국복지실천학회 제 4권 1호, 1p~23p
박범철(2015), 『다문화 감수성에 기반을 둔 간 문화적 글쓰기 프로그램의 실제』, 국제어문 제 66권 399p~436p
박상훈(2011), 『다문화가정의 문화관광 만족이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정아(2006), “새터민(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혜영 외(2014),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금융경제 관련 소비자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제 7권 2호, 33-64.
법무부(2013),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설동훈 외(2013), 『다문화주의에서 시민통합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 35권 1호,
207p-238p
여성가족부(2012),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2015a),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2015b), 전국 다문화 수용성 연구
은평구청(2016b), 사회복지시설 현황
은평구청(2016a), 통계연보
이신숙 외(2013), 『가정교과가 연계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5권 4호, 63p~77p
최병두(2012),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제 47권 1호, 13-36.
최혜정(2014),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 석사학위논문
한만길(1996), 『탈북 이주자의 남한사회 적응문제와 재사회화 방안』, 통일연구논총 제 5권
2호, 215p~238p
행정자치부(2013), 『국내 거주 외국인 기초 실태조사 결과』
행정자치부(2014),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행정자치부(2015),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한국염, 2006, ‘인신매매성 이주현황 과제’, 매매혼적 국제결혼 예방과 방지를 위한 아시아 여성 전략 회의.
김오남,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 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제 18집 3호, 63-106.
한국염, 2006, ‘결혼이민자의 현황과 과제’, 여성가족부.
씨켓 잉언,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갈등경험’ : 태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정주연, 2008,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학생연구논총 228-262.
자료 출처: 통계청. 2008. “2008 한국의 사회지표”.
충청북도 통계 정보 http://stat.cb21.net/.
(그밖에 본문 기재)
로직모델과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
로직모델과 프로포절 20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