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동맥내막절제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경동맥내막절제술
1.1. 경동맥 협착증의 개념 및 원인
1.2. 경동맥내막절제술의 목적
1.3.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적응증
1.4.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수술 방법
1.5. 경동맥내막절제술의 합병증
2. 수술 전 준비 및 검사
2.1. 수술 전 검사
2.2. 수술 전 투약
2.3. 수술 체위
3. 수술 중 간호
3.1. 기구 및 장비
3.2. 사용된 물품
3.3. 수술 절차
4. 마취 방법
4.1. 전신마취
4.2. 마취제 사용
5. 수술 후 간호
5.1. 활력징후 모니터링
5.2. 출혈 및 색전 예방
5.3. 신경학적 증상 관찰
5.4. 합병증 예방
6. 결과 및 고찰
6.1. 수술 전후 과정 요약
6.2.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장단점
6.3. 향후 경동맥질환 관리를 위한 제언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경동맥내막절제술
1.1. 경동맥 협착증의 개념 및 원인
경동맥 협착증은 경동맥의 혈관벽 내에 지방이 축적되고 근육세포들이 증식하면서 혈관 내경이 좁아지는 상태이다. 경동맥은 흉곽 내 대동맥에서 목을 지나 안면과 두개골 내로 들어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된 혈관으로, 좌우에 각각 있다.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는데, 외경동맥은 주로 두개골 밖 피부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여 좁아져도 큰 문제가 없지만, 내경동맥은 두개골 내 뇌나 신경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므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에 혈액공급이 감소하여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경동맥 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이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과 스트레스, 특히 흡연 등이 깊은 관련이 있다. 최근 생활습관의 변화와 의료 진단기술의 발달에 따라 경동맥 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여 고혈압, 뇌졸중 등 허혈성 뇌혈관 질환 중 경동맥 질환이 약 30%를 차지할 정도이다. 경동맥에 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칼슘 등이 침착해 동맥경화성 병변이 생겨 경동맥 내강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경우, 또는 동맥경화성 병변에서 작은 혈관벽 부스러기(색전)가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뇌동맥으로 흘러 들어가서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
경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고 해당 부위의 뇌가 맡은 기능이 감소하게 되지만, 경동맥은 절반 이상이 막혀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무증상의 협착의 경우에도 연간 3~4%는 뇌졸중이 발생한다. 대뇌에 발생하는 경우 반신부전마비, 감각이상, 언어장애가, 소뇌에 발생하는 경우 어지러움증이나 운동실조증이 나타날 수 있다.
1.2. 경동맥내막절제술의 목적
경동맥내막절제술의 목적은 허혈성 뇌졸중의 예방이다. 경동맥 내막에 쌓인 동맥경화성 물질을 제거하여 혈관 내경을 넓혀 뇌로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다. 경동맥 협착으로 인한 뇌경색의 위험을 낮추고 뇌로 가는 혈액공급을 원활히 하여 뇌손상을 예방하고자 함이다. 즉, 경동맥내막절제술은 경동맥 협착으로 인한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되는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경동맥 내막에 동맥경화 plaque가 쌓이면 혈관 내경이 좁아져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동맥내막절제술을 통해 이러한 플라그를 제거함으로써 혈관 내경을 넓히고 뇌로의 혈액 공급을 개선시키는 것이 이 수술의 주된 목적이다. 이를 통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경동맥내막절제술은 경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을 제거하여 뇌혈관의 협착을 해소함으로써 뇌혈류를 개선하고 뇌경색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경동맥내막절제술은 경동맥 협착으로 인한 뇌경색의 예방을 위해 시행되는 수술로, 협착된 경동맥 내막의 동맥경화성 병변을 제거하여 뇌로의 혈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률을 낮추고자 하는 것이 이 수술의 핵심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3.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적응증
급성 완전 뇌졸중 환자에서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무증상 경동맥협착 환자에게도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경동맥 궤양성 플라그가 있는 경우에도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뇌혈류 부전증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전체적인 허혈성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다발성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점진적인 지능장애가 있고 동맥의 병변이 동반된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진행되는 뇌졸중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일시적 허혈성 발작이 있는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뇌기저동맥 부전증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을 시행한다. 이처럼 다양한 경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경동맥내막절제술이 적용된다.
1.4.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수술 방법
경동맥내막절제술의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는 수술 부위 반대로 머리를 돌려 앙와위를 취한다. 척추로의 흐름이 막힐 수 있으므로 머리가 너무 과도신전되지 않게 한다. 피하조직 활경근과 흉쇄유돌근의 전방의 가장자리까지 절개한다. 경동맥을 노출시키고 헤파린화 한 뒤, 폐색부분의 위아래를 겸자로 잡는다. 죽상경화 플라그를 제거하는 동안 혈행을 유지하기 위해 단기간 우회로를 사용한다. 경동맥을 깊게 절개해서 플라그를 제거한다. 양측의 내막절제술은 양측 폐색이 심할 때 시행하나, 일주일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다. 과정이 지연되면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이처럼 경동맥내막절제술은 경동맥 질환의 외과적 치료 방법으로, 경동맥이 명백히 좁아져 일시적인 허혈발작을 일으킬 때 시행한다. 수술 과정에서는 경동맥을 노출시키고 폐색 부위를 겸자로 잡은 뒤 죽상경화 플라그를 제거하는데, 이때 혈행 유지를 위해 단기간 우회로를 사용한다. 양측 폐색이 심한 경우에는 일주...
참고 자료
전남대병원 수술실 NS 수술기구 메뉴얼
박광옥 외 (2008),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 p9-p11 p15-p16 p45-p46 p57-p61 P141-p144 황의호 (2004), 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임상 외과학 , 정담 p28
김태진 (2007), 성인간호학 개정판 , 청담미디어 p2173-2175
이향련 외 (2007),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915-923 p1208-p1209
김귀분 외 (1999), 중환자간호, 현문사 p469-p474
황옥남 외 (2018),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p28-p33
의약품 검색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http://www.medvil.co.kr/ - 수술기구 참고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최신 수술환자간호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성인간호학 1 Pacific Books
변영순 외 9인, 최신수술환자간호, 수문사, 2004, P312~329
고자경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퍼시픽 북스, 2018
흉부외과 Dr.cho의 심장수술 가이드-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심장혈관센터 흉부외과 조교수 조상호 https://heartguide.tistory.com/category/%EC%8B%AC%EC%9E%A5%ED%98%88%EA%B4%80%EC%88%98%EC%88%A0?page=1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https://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faq/view.asp?con_no=9502&rnum=82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장기이식센터-심장이식
https://sev.iseverance.com/dept_clinic/center/transplantation_center/organ_transplant/heart/
경희대학교병원-흉부외과 승모판 치환술
https://www.khuh.or.kr/03/01_29_2.php
울산중앙병원-심뇌혈관센터-경동맥내막절제술
https://www.ulsanjoongang.co.kr/14cere/cere0504.htm
삼성서울병원-뇌졸중센터-경동맥협착증-치료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SC&MENU_ID=003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