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기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기흉
1.1. 폐기종
1.2. 기흉
2. 자발기흉
2.1. 일차성 기흉
2.2. 이차성 기흉
2.3. 월경성 기흉
3. 외상성 기흉
4. 긴장성 기흉
5. 진단검사
5.1. 호흡음 및 신체 사정
5.2. 흉부 방사선 촬영
5.3. 흉부 CT
6. 치료 및 수술
6.1. 안정 및 산소 투여
6.2. 흉강 천자
6.3. 흉관삽입술
6.4. 화학적 흉막유착술
6.5. TGF(ThoracoGraphic Fibrin glue sealing)
6.6. 수술
7. 약물치료
8. 예후 및 합병증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기흉
1.1. 폐기종
폐기종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기관지나 폐에 염증이 생겨 숨 쉴 때 폐조직(폐포)이 늘어나는 것을 조절하는 섬유가 파괴되어 폐포가 제 기능을 못하게 되어 만성적인 기침이나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과 폐활량의 감소가 있는 질환이다. 가장 흔한 만성 폐질환이며 폐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주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폐기종은 중심소엽성(centrilobular), 전소엽성(panacinar), 말초성(paraseptal)으로 분류되는데, 이 가운데 중심소엽성 폐기종이 흡연과 가장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전소엽성 폐기종에 비해 중증의 소기도폐쇄를 보인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전소엽성 폐기종은 α1-antitrypsin 결핍과 대개 관련이 있다.
흡연력의 수준과 폐기종은 강하지는 않지만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심한 흡연을 하는 사람의 40%만 폐기종이 발생하며 폐기종이 있는 사람도 정상 폐기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폐기종은 유해입자와 가스의 흡입에 의하여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가장 의미있는 위험인자는 흡연이다. 파이프나 시가 등 다른 형태의 흡연도 모두 위험인자이며 간접흡연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폐기종 환자의 90%이상이 심한 흡연가이며 공해와 유전적 요인도 중요한 원인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만성적인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주요 증상이다. 활동 시 점진적으로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결국 안정 시 호흡곤란으로 진행된다. 호흡 시 어깨와 가슴을 지지하기 위해 대개 팔을 무릎 위에 올린 채 약간 앞으로 숙여 호흡하는 경향이 있고 호흡 부속근육을 사용한다.
폐기종 환자는 감기나 폐렴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고, 폐렴 등에 의해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호흡기 증상이 새로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빨리 호흡기 내과의 진료와 치료가 필요하다.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에 앞서 독감 예방 주사를 맞으면 예방 효과가 있으며, 감기에 걸려도 증상이 가벼울 수 있다.
병력과 신체검진으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흡연력이 있으면서 지속적인 운동성 호흡곤란, 만성 기침, 가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의심할 수 있다. 엑스레이 검사는 심한 상태가 될 때까지 정상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형광 투시검사, 기관지 조영술, 폐기능 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방사선검사로는 흉부 방사선 촬영 시 공기의 과팽창(hyperinflation), 횡경막의 편평화 소견이 관찰될 수 있으며,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CT)에서도 공기의 과팽창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폐기종 환자는 위험인자 제거를 위해 흡연자는 금연을 해야 한다. 금연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예방과 진행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감기 등의 호흡기 감염은 급성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손 씻기 및 일반 위생을 주의하고 매년 가을에는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폐기종의 치료는 상당히 어렵다. 이미 파괴된 폐를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금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금연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기도 폐쇄를 개선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남은 폐 기능으로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물리요법 또는 재활요법을 할 수 있다. 재활요법은 감염 예방, 폐순환과 환기를 개선하며, 기관지 부종과 경련, 점액의 과잉 분비를 감소시키고, 호흡 근육을 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약물치료는 폐 기능을 호전시킨다기보다는 현재 증상을 개선하고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내과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관지확장제와 흡입제 등은 호흡곤란과 만성적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안정 상태에서 약물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약제는 기류 제한을 호전시키기 위한 기관지 확장제와 항 염증 효과를 위한 부신피질 호르몬제가 있다. 흔히 사용되는 기관지 확장제의 종류에는 항콜린제(anticholinergics), 베타-투 항진제(β2-agonist), 메틸잔틴(methylxantine)계 약물 등이 있다. 흡입제는 정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 등의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적절히 사용되는 경우 효과적으로 폐에만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수술요법은 폐 용적 축소술, 폐이식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 연구가 부족하고 일부 제한된 환자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국내에서는 아직 일부 기관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폐활량의 감소가 나타나며 흡연을 하는 경우 이러한 폐 기능의 감소 속도가 정상인보다 훨씬 빠르다. 폐기종을 포함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들은 폐 기능의 감소가 이미 진행된 상태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폐 기능은 더욱 떨어지며, 특히 흡연을 하는 경우 급속히 폐 기능이 악화되어 호흡곤란이 심해지게 되고 활동하기 힘들어진다. 감기와 같은 호흡기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급성악화가 발생하여 급격한 호흡곤란, 기침의 악화를 보이며, 가래의 양이 증가하고 화농성 변화를 보이며 심한 경우 호흡부전으로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질병이 진행하면서 호흡곤란이 심해짐에 따라 운동능력이 저하되고 근력 약화, 체중 감소를 보이게 되며 이러한 결과로 상대적인 사회적 고립,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폐 기능의 악화가 심해지면 폐의 가스교환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 고탄산혈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심장 기능의 저하를 동반하게 되는 폐성심(pulmonary heart disease)이 발생할 수도 있다. 결국 호흡부전 및 심혈관계 합병증으로 인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1.2. 기흉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기흉은 자발 기흉, 외상성 기흉, 의인성 기흉으로 분류된다.
자발 기흉은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 월경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며 주로 폐의 가장 윗부분 흉막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가 터져서 발생한다. 이차성 기흉은 기저 폐질환이 ...
참고 자료
서울성모병원. 폐기종.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curPage=5&idx=58&searchFields=&keyword=&type=A
서울아산병원. 폐기종.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9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폐기종 검색일 210419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07
송경애 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 중재와 술기,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기흉, http://www.khna.or.kr/homecare_new/02_respi/rd08.php, (검색일: 21.04.2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기흉,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TS&MENU_ID=004026018, (검색일:21.04.25)
서울아산병원 기흉,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55, (검색일: 21.04.25)
서울대학교병원 기흉, http://www.snuh.org/health/encyclo/view/10/3/14.do, (검색일: 21.04.25)
세브란스병원 기흉,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936, (검색일: 21.04.25)
원자력병원 기흉의 치료, https://www.kcch.re.kr/dept/main/index.do?DP_CODE=N006&MENU_ID=002012, (검색일: 21.04.25)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549, (검색일: 21.04.25)
MSD 매뉴얼 긴장 기흉,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D%89%EB%B6%80-%EC%86%90%EC%83%81/%EA%B8%B4%EC%9E%A5-%EA%B8%B0%ED%9D%89, (검색일: 21.04.25)
MSD 매뉴얼 외상성 기흉,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B6%80%EC%83%81-%EB%B0%8F-%EC%A4%91%EB%8F%85/%ED%9D%89%EB%B6%80-%EC%86%90%EC%83%81/%EC%99%B8%EC%83%81%EC%84%B1-%EA%B8%B0%ED%9D%89, (검색일: 21.04.25)
서울아산병원. 가슴관삽입술, (검색일 2021.04.19.)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78
경희대학교병원. 폐기종. 검색일 2021.04.19.
https://www.khuh.or.kr/04/01.php?hospitalpath=md&table=mdlecture&page=1&command=view_article&key=740&s_key=&keycode=&keycode2=
김영권 외 공저(2014) . 병원미생물학. 서울 : 수문사
박은영(2018). NANDA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사울 : 현문사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상(7th.ed.). 서울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