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우울과 관련된 간호전문직의 직업적 책무와 법적 윤리적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 윤리적 기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1.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1.3.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2. 본론
2.1. 간호전문직 표준
2.1.1. 간호전문직 표준의 기준
2.1.2. 간호 실무 표준
2.2.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
2.2.1. 간호사의 법적 책임
2.2.2. 간호사의 법적 의무
2.3. 윤리적 기준
2.3.1. 간호사와 대상자
2.3.2. 전문가로서의 간호사 의무
2.3.3. 간호사와 협력자
2.4. 임상현장의 법적 · 윤리적 딜레마
2.4.1. 사례 분석
2.4.2. 개선방안
3. 결론
3.1. 요약
3.2.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 · 윤리적 기준의 필요성과 중요성
간호전문직 표준과 간호실무의 법적·윤리적 기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임상간호실무의 수월성을 증진시키고 지원하는 일은 간호행정가의 중요 책임 중 하나이며, 많은 행정적·관리적 행위들은 이 목적을 위한 것이다. 간호사들이 발휘하는 탁월한 간호실무능력은 간호사 개인의 업무를 측정하고 업무의 결함을 교정할 수 있는 간호 실무에 대한 표준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간호실무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간호에 대한 표준과 간호사들의 업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간호전문직 표준은 간호과정에 초점을 두어 전문직 간호실무를 위한 최초의 표준이 마련된 이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되어 왔다. 이는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 증진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법은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규범이며, 정치적으로 조직된 사회의 강제성을 띠게 된다. 이러한 법의 효력이란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써, 규범이 정한 방법대로 행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전문직에 있어서 법의 효력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에게만 의료와 같은 특정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주고 있다. 간호사의 직업도 이러한 법적 기준에 따라 전문직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간호직을 반전문직의 범주에서 전문직의 범주로 옮겨 놓으려는 시도들을 하여 왔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법률의 제정을 가져왔다.
한편, 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행위를 안내하고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을 제공하며 간호사들이 윤리적 의사결정에서 기본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간호직의 일차적 목표와 가치를 명백히 함으로써 간호직에 들어오려는 사람에게는 교육과 성찰의 자료가 되고, 간호 직 내에 있는 사람에게는 자가평가와 동료평가의 기준이 되며, 간호직 밖에서는 간호사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기대 수준의 지표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사의 행위를 안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1.2.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임상간호실무의 수월성을 증진시키고 지원하는 일은 간호행정가의 중요한 책임 중 하나이며, 많은 행정적·관리적 행위들은 이 목적을 위한 것이다. 간호사들이 발휘하는 탁월한 간호실무능력은 간호사 개인의 업무를 측정하고 업무의 결함을 교정할 수 있는 간호 실무에 대한 표준을 전제로 한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간호실무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간호에 대한 표준과 간호사들의 업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표준이란 사물을 처리할 때 추구해야 할 기준, 규범, 목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적정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와 가치, 그리고 직무를 의미한다. 미국간호협회(ANA)는 1960년대 표준 개발을 위해 활발히 노력한 결과 1973년 전문직 간호실무를 위한 최초의 간호표준을 발표했으며, 이 표준의 특징은 간호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이후 1991년에 간호표준의 새로운 수정안을 발표하였다.
간호표준은 임상간호실무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간호표준의 개발과 적용은 간호실무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사 개인과 간호조직 전체의 책임성을 확보하며, 간호전문직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 표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3.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
간호실무의 법적 기준의 필요성 및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법은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규범이며, 정치적으로 조직된 사회의 강제성을 띠게 된다. 이러한 법의 효력이란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써, 규범이 정한 방법대로 행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전문직에 있어서 법의 효력은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에게만 의료와 같은 특정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주고 있다.
간호사의 직업은 '반전문직'이라고 불려지는 불완전한 전문직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 의료 과학기술의 발전, 환자인구의 노령화, 만성 및 퇴행성질환의 증가, 진료 유형의 변화 등은 간호사들이 환자치료에서 점차 기술적, 사회적으로 더 큰 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간호직을 반전문직의 범주에서 전문직의 범주로 옮겨 놓으려는 시도들을 하였고, 교육을 강화하고 간호사의 역할을 확대하여 자율성과 전문적 책임의 증대를 가져오도록 하였다....
참고 자료
취재K, “한국 노인 OECD 최고 자살률…노인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은?”, KBS NEWS, 2019.09.29.,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292513
김명환 외, “남성노인 자살률 여성 3.2배…70대 男 10만명당 75명” 매일경제, 2021.08.16.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08/792111/
의협신문 < 요양병원, 코로나 우울증 극복 안간힘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965
간호관리학, 현문사, 정면숙 외 4, 2020.03.02
김동희외 10명(2021), 보건의약관계법규, 수문사, 서울특별시
정면숙(2015), 간호학개론(제2판), 현문사
장금성(2015), 간호윤리학과 전문직(제3판),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