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직업병예방 프로그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5.01.20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직업병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추진배경
1.2. 사업목적 및 목표
1.3. 사업대상 및 기간

2. 본론
2.1. "맑은 혈관, 맑은 내일" 캠페인
2.1.1. 홍보
2.1.2. 서포터즈 선발 및 활동
2.1.3. 서포터즈 보상
2.2. "굿바이 지방, 헬로우 건강" 비만관리프로그램
2.2.1. 홍보
2.2.2. 연계기관 활용
2.2.3. 대상자 선정 및 내용
2.2.4. 평가
2.3. "금연히어로즈" 금연프로그램
2.3.1. 홍보
2.3.2. 협력자원 연계
2.3.3. 대상자 선정 및 내용
2.3.4. 보상
2.4. "힐링타임"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2.4.1. 홍보
2.4.2. 연계기관 활용
2.4.3. 내용
2.4.4. 평가
2.5. 심폐소생술 교육

3. 평가계획
3.1. 평가 항목 및 방법
3.2. 평가 시기 및 대상

4. 기대효과

5. 협력자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추진배경

직업병 및 직업성 질환은 근로자의 건강과 기업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2019년 직업병 및 직업성 질환 중 1위가 신체부담작업, 2위가 사고성요통, 3위가 요통이었으며, 6위가 뇌심질환이었다. 뇌심질환의 경우 재해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뇌심질환으로 인한 개인적 손실로는 수행 가능한 업무 범위 감소, 급여 감소, 병가 및 휴직, 사망 등이 있다. 기업 측면에서는 생산 차질, 새로운 인력 채용 비용, 기업 이미지 악화 등의 비용이 발생한다. 국가적으로도 산재보험 급여 지급 등 큰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근로자의 뇌심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2. 사업목적 및 목표

·일반적 목표 - oo 사업장은 뇌심질환 예방을 통한 병가·휴직·사망자 수가 감소한다.
·구체적 목표 - oo 사업장은 뇌심질환 예방 실천율이 80%로 증가한다.
·oo 사업장은 생활습관개선(금연, 운동 등)을 통해 전년 대비 뇌심혈관질환 발생 고위험군 15% 감소한다.

oo 사업장은 뇌심질환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수립하였다. 먼저 일반적 목표로 뇌심질환 예방을 통한 병가·휴직·사망자 수가 감소하도록 하였다. 구체적 목표로는 oo 사업장의 뇌심질환 예방 실천율을 80%까지 증가시키고, 생활습관개선(금연, 운동 등)을 통해 전년 대비 뇌심혈관질환 발생 고위험군 15%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업장은 개인의 건강증진과 더불어 산업재해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뇌심질환 예방에 목표를 두고 있다.


1.3. 사업대상 및 기간

oo사업장 생산직 근로자가 사업대상이며, 사업기간은 2020년 6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7개월이다. 생산직 근로자들은 과중한 업무와 반복적인 생활로 인해 만성질환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이들의 신체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2. 본론
2.1. "맑은 혈관, 맑은 내일" 캠페인
2.1.1. 홍보

사내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캠페인에 대한 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한다. 건강게시판과 식당 앞에 캠페인 관련 게시물을 붙여 근로자들의 관심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심혈관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또한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직접적인 홍보를 펼치고 SNS, 홍보물 등을 활용하여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전파한다.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혈압, 혈당 측정 부스를 운영하여 근로자들의 건강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를 선별한다.

이와 같이 사내 커뮤니케이션 채널과 참여 이벤트를 통해 근로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맑은 혈관, 맑은 내일" 캠페인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근로자들의 심혈관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천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2.1.2. 서포터즈 선발 및 활동

신청자에 한해 10명의 서포터즈를 선발한다. 지원자가 많은 경우 대사질환자(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를 우선적으로 선발한다. 선발된 서포터즈들은 3개월 간 활동하며, 활동 전 전남대병원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심뇌혈관질환 예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서포터즈들은 출퇴근길에 홍보활동을 하여 혈관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고취시키고, 예방프로그램을 홍보한다. SNS와 홍보물을 통해서도 생활습관 개선의 중요성을 알린다. 또한 자원봉사자인 간호학과 학생들과 함께 혈압, 혈당 측정 등의 부스 운영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서포터즈들에게는 마사지샵 이용권이 제공된다.이와 같이 서포터즈 선발을 위한 지원 및 선발 기준, 활동 내용과 교육, 협력자 구성, 보상 등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기존 질환자나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선발하고,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인 점이 돋보인다. 또한 혈압, 혈당 등 직접적인 건강상담과 홍보활동을 병행하여 사업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대상자 선발과 활동 내용, 인력 구성 등이 충실하게 구성되어 있어 서포터즈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건강증진 및 참여 확산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1.3. 서포터즈 보상

서포터즈 보상은 다음과 같다. 마사지샵 이용권을 제공하여 서포터즈를 보상한다. 회식비로 총 60만원(1회 20만원)을 지출한다. 또한 서포터즈 선발을 위해 자원봉사자로 간호학과 학생 5명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서포터즈의 활동을 장려하고 보상함으로써 캠페인의 성과를 높이고자 한다.


2.2. "굿바이 지방, 헬로우 건강" 비만관리프로그램
2.2.1. 홍...

...


참고 자료

그래프통계: 안전보건공단, 2015~2019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그래프제작은 본인이 했음)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 대상으로 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2013)
(한세리, 유옥경, 변문선, 박태선, 차연수)
전북대학교 부설 비만연구센터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WHO. 3~5 June, 1997.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Geneva.
WHO. 2002. Reducing risks-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Nguyen DM, El-Serag HB. 2010.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 Clin North Am 39: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of Korea yearbook 2012. Korea. Vol 58.
Park TS, Kim EK. 2006. The living nutrition of contemporain.Koymunsa, Seoul, Korea. p 201-244.
Nakanishi N, Okamota M, Makino K, Suzuki K, Tatara K. 2002.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correlates of se
Jun YS, Choi MK, Bae YJ, Sung CJ. 2006.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Korean J Food Culture 21: 216-224.
Kang HK. 2005. Changes in blood pressures, blood profiles and physical conditions among adults in the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0: 633-644.
Lim HJ. 2005.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seasonal difference of nutrient intake of adult work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0: 501-512.
Oh HS, Jang M, Hwang MO, Cho SW, Paek YM, Choi TI, Park YK. 2009. Effect of 1 year e-mail nutrition education fter face-to-face encounter at worksite: Changes i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 Nutr 42: 559-566.
Kim TY, Um SH. 2004. Older adult with type 2 diabetes improve glycemic control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0:
205-217.
Kim TY, Suh MO.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in male workers by the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Diet Assoc 14: 351-360.
2008년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델연구 -사업장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odel of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Focused on Weight Control Program –
이강복, 김건호, 김순진, 이승환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