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근종의 정의 및 특성
1.1. 자궁근종의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벽의 근육조직에서 생기는 혹으로, 자궁의 평활근과 결합조직섬유의 이상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다. 평활근세포에서 발생되어 근종 또는 평활근종으로 부른다. 자궁근종은 생식기계 양성종양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발생 부위에 따라 자궁경부근종, 자궁체부근종, 자궁질부근종으로 분류한다. 자궁근종의 크기는 미세하게 작은 것부터 거대한 크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단발성과 다발성의 경우가 있다. 자궁근종은 대부분 체부의 근층에서 발견되나, 드물게 자궁 인대나 자궁하부 또는 자궁경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체부근종이 전 자궁근종의 90%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경부근종은 약 10%이며, 질부근종은 매우 드물다. 자궁에 발생하는 종양의 대부분이 바로 근종이며, 뚜렷한 증상은 없지만 가임기 여성의 약 25~35%에서 발견되며, 특히 35세 이상의 여성들 중 40~50%에서 발견되는 매우 흔한 양성 종양이다. 폐경기 이후는 대체로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며, 새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1.2. 자궁근종의 발생 부위
자궁근종은 자궁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자궁체부의 근층에서 발견되지만, 자궁경부 또는 자궁의 하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자궁체부에 발생하는 근종이 전체 자궁근종의 약 90%를 차지하며, 자궁경부 근종이 약 10%, 질부 근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자궁체부에 발생하는 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의 점막하층, 자궁근층 내부의 근층내층, 그리고 자궁의 외막인 장막하층에서 각각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구분된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며 전체 근종의 약 5%를 차지한다.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층 내부에 깊숙이 위치하는 근종이며, 가장 많은 약 80%의 근종이 이에 해당한다. 장막하근종은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며 전체 근종의 약 15%를 차지한다.
이와 같이 자궁근종은 발생 부위에 따라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구분된다. 이 중 체부의 근층에 발생하는 근층내근종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근종의 위치와 성장 양상에 따라 증상과 합병증이 달라질 수 있다.
1.3. 자궁근종의 크기와 특징
자궁근종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며, 단발성과 다발성의 경우가 있다. 가장 작은 크기는 팥알 크기부터 성인의 머리 크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자궁근종은 자궁체부의 근층에서 발견되지만, 드물게 자궁경부나 자궁질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자궁에 발생하는 종양의 대부분이 자궁근종이며, 가임기 여성의 약 25~35%에서 발견되고 특히 35세 이상의 여성 중 40~50%에서 발견될 정도로 매우 흔한 양성 종양이다. 폐경기 이후에는 대체로 근종의 크기가 감소하며, 새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자궁근종은 경계가 명확하고 둥글며 단단한 회백색의 종괴로, 단면이 평활근속들이 소용돌이로 배열된 양상을 보인다. 근종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자궁근종의 원인
2.1. 유전적 요인
자궁근종은 유색인종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유전적 요인이 근종 발생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흑인 여성들의 경우 다른 인종에 비해 자궁근종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또한 자궁근종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들에게서 이 질환이 더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유전적 체질적 특성이 근종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자궁근종은 자궁의 평활근과 결합조직섬유의 이상증식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상증식에는 유전적 요인이 작용한다. 자궁근종 환자의 근종 조직에서는 섬유모세포성장인자, 표피성장인자 등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과발현이 근종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자궁근종은 단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유전자 및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자 질환이다. 따라서 유전적 체질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 근종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유색인종이나 근종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들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자궁근종의 발생에는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호르몬적 요인
호르몬적 요인
자궁근종의 발생과 성장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역할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난소의 기능이 왕성할 때 근종이 잘 자라며, 초경 이전이나 폐경기 이후에는 근종의 발생이 드물다. 특히 폐경기 이후에는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하면서 근종의 크기가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은 근종이 에스트로겐에 의존하여 성장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Meyer가 제기한 'cell nest' 가설에 따르면, 자궁의 근육층에서 미성숙한 근육세포가 발생하고 이 세포들이 지속적인 에스트로겐 자극을 받아 근종으로 발육된다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호르몬, 특히 에스트로겐이 자궁근종의 발생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궁근종의 치료에 있어서도 호르몬적 요인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GnRH 활성제나 프로게스테론 제제를 활용하여 일시적인 가상폐경 상태를 유도하고 에스트로겐 수치를 낮추는 약물 요법이 근종 크기 감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수술 전 GnRH 투여를 통해 근종 크기를 줄이는 전략도 활용된다. 이처럼 자궁근종의 발생과 성장에 미치는 호르몬적 요인을 고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2.3. 기타 위험 요인
체중 증가는 자궁근종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비만은 자궁근종 발생 위험을 높이며, 특히 여성호르몬인 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