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유 활동지도안 기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청소년 인터넷 중독 현황과 문제점
1.2. 스마트폰 중독의 정의와 증상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본론
2.1.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
2.1.1.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 및 영향
2.1.2. 청소년 집단의 특성 및 위험요인
2.2.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계획
2.2.1. PRECEDE-PROCEED 모형의 적용
2.2.2. 행동 및 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내용
2.3. 청소년 대상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
2.3.1. 학습지도계획서 구성
2.3.2. 평가 및 피드백 방안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제언
3.3. 향후 연구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청소년 인터넷 중독 현황과 문제점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로 청소년들의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인터넷 중독률은 약 10~15%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터넷 게임, SNS, 동영상 시청 등에 중독되는 경우가 많으며, 중독 증상으로 인해 학업 및 가정생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도 심각한 수준이다.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어 건강, 학업, 대인관계 등 여러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한 신체적 증상, 사회성 발달 저해, 심리적 불안감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등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1.2. 스마트폰 중독의 정의와 증상
스마트폰 중독이란, 지나치게 스마트폰에 몰두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에 내성과 금단 증상이 생겨 수면, 일상, 건강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물질중독과 같은 전형적인 중독 증상을 동반하며, 금단증상으로 초조, 불안, 강박적인 사고, 환상이나 백일몽, 손가락의 수의적 또는 불수의적 자판 두드리기 등이 나타난다. 또한 내성이 생겨 사용하면 할수록 더욱더 몰입하게 되고 같은 정도의 만족을 얻기 위해 시간을 늘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가족, 대인관계, 일, 학교 등 주요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가상과 현실을 구별 못하고 게임에 과도하게 몰입하다 현실로까지 연장되는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신체적으로는 어깨 결림, 피로, 소화불량, 요통 등을 호소하며 수면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강박적 사고를 갖게 되고 충동 통제가 줄어드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면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들의 건강과 생활에 다양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PRECEDE-PROCEED 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중독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고자 한다. []
2. 본론
2.1.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
2.1.1.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 및 영향
스마트폰 중독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첫째, 뇌신경학적 요인에 의해 스마트폰 중독이 발생한다.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prefrontal cortex(PFC)와 ventral striatum(VS) 등의 특정 뇌 영역이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는 약물 중독과 유사한 신경생물학적 기전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둘째, 발달적 요인도 스마트폰 중독의 주된 원인이 된다. 청소년기에는 또래 집단에서의 인기와 사회적 관계 유지가 중요한데, 스마트폰을 통해 이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된다. 셋째, 스마트폰의 매체적 특성도 중독을 야기한다. 터치스크린 조작,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 스마트폰만의 독특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력을 높인다. 넷째, 개인의 심리적·성격적 요인도...
참고 자료
중국의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 현황 및 대응정책에 대한 소고, 임영화, 신현주, 한국중독범죄학회, 2018, vol.8, no.4, 통권 20호 pp. 119-137 (19 pages)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인터넷게임중독 실태 분석 연구, 조현섭, 한국청소년학회, 2019, vol.26, no.10, pp. 291-310 (20 pages)
성별에 따른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련 요인, 배성만, 한국청소년학회, 2015, vol.22, no.8, pp. 385-405 (21 pages)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여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사회적지지, 자기불일치, 자기도피의 차이, 현은정, 김계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vol.23, no.1, pp. 229-246 (18 pages)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 2013 『보건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공은숙, 보건교육학, 정담미디어, 2015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쉼센터 www.iapc.or.kr
김병년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08-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