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사 4차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
1.2.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4차 산업혁명시대와 교육
2.1.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사회적 영향
2.2. 미래 교육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2.3. 교육의 변화 방향: 역량 중심 교육
2.4. 교육과정 및 수업의 혁신
3.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사 역할
3.1. 지능정보 활용 역량
3.2. 융합적·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3.3. 협력적 의사소통 및 네트워킹
3.4. 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감성 계발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교육혁신을 위한 정책적 제언
4.3. 교사의 역할 변화와 교육체계 개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이다. 이는 산업뿐만 아니라 국가 시스템, 사회, 삶 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유발할 것이며, 교육 분야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4차 산업혁명 위원회에 따르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융합교육 활성화, 맞춤형 교육 실현, 디지털 교육 고도화 등 미래교육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체계 개편이 현장에서 교육적 효과를 거두려면, 교육을 주도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탐색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로봇,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의 연결 등을 특징으로 하며, 어느 한 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귀결되고 있다. 각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사회의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5년 독일 하노버산업박람회에서 메르켈 총리는 "4차 산업혁명시대는 인류의 미래 세계이며, 어떻게 대비하느냐에 독일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사회를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하며, 이에 따라 학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교원은 기존과 구별되는 어떠한 역량을 함양해야 하는지가 교육계가 풀어가야 할 당면 과제가 되었다.
1.2.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현재 4차 산업혁명을 축으로 치열한 국가 간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한 기술 진보를 넘어 인간과 기계의 융합, 가상과 현실의 접목이라는 일대 혁명으로 일컬어진다. 급격한 기술 혁명이 진행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을 통해 추구할 인재상과 그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우선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는 다양한 지식을 암기하거나 풍부한 정보를 가진 사람이 아니다. 풍부한 지식과 정보를 융합하여 창의적으로 재생산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할 수 있는 역량과 인성을 갖춘 인재라는 점에 이미 많은 논의를 통해 의견이 수렴되었다. 이와 관련해 2015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인간상과 인간상 구현을 위한 핵심역량을 제시한 바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관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인간상을 살펴보면 가.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자주적인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라. 공동체 의식을 가진 세계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이다. 아울러 교육과정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역량을 가.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적 능력 및 자질을 바탕으로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 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정보처리 역량, 다.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융합 사고 역량, 라. 세상을 보는 안목과 문화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 마.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갈등을 조정하는 의사소통 역량, 바.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의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 등으로 제시하였다.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은 수많은 지식을 갖춘 사람이 아니라, 소통, 창의성, 분석력, 협업능력 등과 같은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겸비한 창의적사람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미래사회에서 중요한 역량은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융합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등이다. 이러한 역량은 이전의 지식 중심적 교과 교육에서는 크게 강조하지 않았던 것이다. 즉, 미래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역량은 단편적 지식과 정보를 단지 알고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활용하여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할 수 있는 융·복합적 창의력에 있다. 이러한 시대변화와 요구는 학교 교육에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지식 중심의 교육방식과 내용이 어떻게 달라져야 이러한 역량을 체득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하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 교육은 주입식 교육과 선다형 평가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왔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은 배움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교사들 또한, 자기효용감을 상실하고 있다. 이러한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행되는 교육정책은 미봉책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대전환은 무엇보다 교수학습방식을 과감히 바꾸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주입식·암기식 교육으로 인해 잠든 교실의 학생들을 깨우고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역량을 키워주기 위한 공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참고 자료
강선보 (2017.06.02) “인공지능시대의 교육개혁” 한국교육신문.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81387)
강성빈 (2009). 학습자, 학부모 및 교사가 기대하는 교사상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17-437.
김운종 (2009).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79-94.
이기마 (2017).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재고, 교과교육연구, 10:1, 23-38
정영근. (2008). 글로벌 경쟁시대의 교직관과 교사의 역할. 교육의 이론과 실천, 13(1), 175-191.
허영주 (2015).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상 유형 및 추구하는 교사상의 복합성 정도. 교육문화연구, 21(2), 5-26.
김은진.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9 (2018.9): 248-259.
이혜정. "미래사회, 어떤 교육으로 만들어갈 것인가." 교육비평, .39 (2017.5): 369-385.
조상식.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2016.12): 152-185.
교육부, “제16회 대한민국 교육박람회, 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부 블로그, 2019.01.23., (https://blog.naver.com/moeblog/221449168562, 2019.04.11.)
네이버 지식백과, “산업혁명”,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0942&docId=1108641&categoryId=31818, 2019.04.12.)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4차산업혁명”,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2018, (https://www.4th-ir.go.kr/4ir/list, 2019.04.13.)
콘텐타 매거진, “2분 안에 보는 4차 산업혁명 완벽 정리!”, 콘텐타 매거진, (http://magazine.contenta.co/2017/12/2%EB%B6%84%EC%95%88%EC%97%90-%EB%B3%B4%EB%8A%94-4%EC%B0%A8-%EC%82%B0%EC%97%85%ED%98%81%EB%AA%85-%EC%99%84%EB%B2%BD-%EC%A0%95%EB%A6%AC/
, 2019.04.13.)
4차 산업혁명 위원회(2017).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
강성종(2021).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현석(2016). 한국 중등 교육과정의 현실과 교육과정의 과제: Speculative Essay Approach. 2016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육학회.
곽기영(2016). 4차 산업혁명 Industry. 전기저널. 대한전기협회.
김경애 외(2015). 학생 수 감소 시대의 미래지향적 교육체제 조성 방안. (연구보고 RR 2015-04). 한국교육개발원.
김병찬(2000).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원교육연구, 17(3), 113-141.
김승현(2017).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주요국의 혁신정책. Entrepreneurship Korea.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영지(2019). 4차산업혁명 시대의 중등수학 교수·학습방법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필성・강현석(2015).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의 토대로서의 삶의 내러티브에 대한 탐구. 교육학연구, 53(3), 195-227.
나권수·김영주(2017). 4차 산업혁명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송성수(2017). 역사에서 배우는 산업혁명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STEPI Insight.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열관 외(2014).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편성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과정.
소경희 외(2010).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 동향: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비교교육연구, 20(2), 27-50.
온정덕(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 (CP 2015-0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이슈페이퍼7.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한반도선진화재단.
이형빈(2015). 교육과정-수업-평가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서울: 맘에 드림.
임호(2017).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적 대응 방향. 부산발전포럼. 부산발전연구원.
장슬기(2016). 한국의 교육현장 속에서, 미래학교를 찾다 -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한국 학교교육의 전망과 해법.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3주년 기념 심포지엄. 70-93.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최계영(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크리스티안 루더, 이가영 역(2015). ‘빅데이터 인간을 해석하다.’ 서울: 다른.
홍영교(2016).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창의지성 인재육성 방안. 알파고와 포켓몬고 시대의 창의지성교육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 2016 제1회 화성창의지성교육 정책포럼 세미나 자료집.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