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변흡인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태변착색과 태변흡입증후군의 중요성
1.2. 연구 목적
2. 태변흡입증후군의 정의 및 병태생리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3.1. 기도 폐색
2.3.2. 폐의 염증
2.3.3. 폐혈관의 수축
2.3.4. 폐 활성물질의 비활성화
3. 태변흡입증후군의 임상 증상
4. 태변흡입증후군의 진단
5. 태변흡입증후군의 치료
5.1. 산전 관리
5.2. 분만실에서의 처치
5.3.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치료
5.3.1. 호흡기계 치료
5.3.2. 일반적인 치료
6. 태변흡입증후군의 합병증
7. 사례 연구
7.1. 환아의 전반적인 질병과정 요약
7.2. 간호과정
7.2.1. 간호사정
7.2.2. 간호진단
7.2.3. 간호중재
7.2.4. 간호평가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태변착색과 태변흡입증후군의 중요성
양수 내 태변착색은 전체 분만의 약 10~20%에서 발생하며 태반에만 착색된 경우도 18%까지 보고되는 비교적 흔한 현상이다. 양수 내 태변착색은 태아 심박동 상태나 신생아 호흡 곤란증 등을 유발해 주산기 유병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적지않다. 특히 2~5%에서 신생아의 태변 흡입 증후군을 유발하고 이 중 25~60%는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태변착색이 주산기 유병율의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는것과 달리 양수 내 태변착색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않고 대부분은 정상적인 예후를 보이기 때문에 응급 상황으로는 잘 인지되지 않고 있다.
1.2. 연구 목적
연구 목적은 태변착색이 주산기 유병율의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것과 달리 양수 내 태변착색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않고 대부분은 정상적인 예후를 보이기 때문에 응급 상황으로는 잘 인지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태변착색이 나타나는 환아는 어떻게 간호해야하며 태변착색 환아에 대해 적용 할 수 있는 집중적인 간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 태변흡입증후군의 정의 및 병태생리
2.1. 정의
태변이란 태아의 대장 내용물을 말하며, 보통은 신생아가 분만 후 2,3일 동안에 배출하는 점성이 강하고 냄새가 없는 암녹색 변을 뜻한다. 양수 내 태변 착색은 이러한 태변이 양수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말하며, 분만 직전 또는 분만 도중에 이를 흡인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을 태변흡입증후군이라 한다.""
2.2. 원인
정상적인 태아는 엄마 뱃속에 있는 동안 소화기관 운동에 중요한 호르몬인 모틀린 수치가 저하되어 있어 장 운동이 없고, 항문 괄약근이 조여져 있으며 찐득거리는 태변이 항문을 막고 있어 자궁 내에서 태변을 배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만삭이 지나서 과숙아가 되면 모틸린 수치가 증가되어 장 운동이 발생한다. 제대가 눌리거나 두부 압박이 있으면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항문 괄약근이 열리면서 태변을 배출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자궁 내 태아에게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태아의 저산소증과 산혈증으로 항문 괄약근이 열리고 태변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태변 배출은 양수 내 감염을 조장하는 인자이기도 하다. 산모 측의 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 흡연, 만성 호흡기 또는 심혈관계 질환 등이 있으며, 태아 측의 요인으로는 지연임신, 양수 과소증, 자궁 내 성장지연, poor biophysical profile, 비정상 태아 심박동 등이 있다.
2.3. 병태생리
2.3.1. 기도 폐색
태변은 끈적거리고 진한 초록색이며 이를 흡인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막힐 수 있다. 즉 태변으로 일부 막혀있는 기관지에 일방 폐쇄가 생기면 공기의 유입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진다. 이는 기관지 내의 이물이 크거나 점막의 부종 또는 기관 수축이 있을 때 등에 의해서 기관지 내 안지름이 줄어들기 때문에 흡기에는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호기에는 공기 배출이 차단되어 결과적으로는 공기가 누적되면서 폐기종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기종이 진행되면 기흉과 피하기종이 동반된다. 이러한 기전으로 기흉은 약 15~33%에서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태변 덩어리가 크거나, 기관지가 수축 또는 부종으로 이내서 완전히 폐쇄되면 기관지 폐포에 있던 공기가 혈중으로 흡수되어 무기폐의 형태로 나타난다. 완전 폐쇄가 이루어진 부위의 호흡음은 감소된다.
2.3.2. 폐의 염증
태변은 여러 가지 기전으로 호흡기를 자극하고 나쁜 영향을 끼친다. 그중 하나가 폐의 염증이다.
태변을 흡인한 신생아의 기관 흡인액을 조사해 보면 염증을 조장하는 여러 가지 염증 촉진 인자가 증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과 염증 세포의 증가로 인해 폐 기능이 저하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심한 경우에는 출혈성 폐부종이 유발되기도 한다.
태변 흡인으로 인한 염증 반응은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호흡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의 발생과도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태변 흡인 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반응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3.3. 폐혈관의 수축
중증의 태변흡입증후군에서는 신생아 지속성 폐혈관 고혈압증이 동반된다"" 태변 흡입에 의한 호흡기 증상 외에 자궁 내 만성 저산소증에 의한 대상성 폐혈관의 비후로 신생아 지속성 폐혈관 고혈압증이 유발된다"" 태내에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혈관 활성 물질들이 원인인 것으...
참고 자료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2014),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2014),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손동우(2005), 태변착색 신생아의 관리, 대한주산회지, 16권2호
심재윤·조현진(2005), 양수 내 태변착색의 산과적 의미, 대한주산회지, 16권2호
아동간호학1 수문사(2012)- 374~425쪽
아동건강간호학1, 수문사. 홍경자 김은주 외
약학정보원
김귀숙(2001), 환자 측면, 병원약사 측면, 병원경영 측면에서 본 소아 TPN의 유용성 평가, 병원약사회지 제18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