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비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의 일반적 특성
2.1. 형태적 특성
2.1.1. 음운적 특성
2.1.2. 형태적 특성
2.1.3. 통사적 특성
2.2. 내용적 특성
2.2.1. 어휘와 의미 특성
2.2.2. 화용적 특성
3. 한국어와 외국어의 내용적 특성 비교
3.1. 인사표현에서의 비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는 외국인 학습자에게선 낯설고 어려운 언어입니다. 그 이유는 다른 언어와 다른 문자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어의 일반적 특성은 한국어는 알타이어 계통이며 첨가어(교착어)로서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문법 형태가 발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어순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복수 표현의 불규칙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언어와 다르게 대우법인 높임법이 발달하여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특성이 있으며,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다른 외국어와 비교 대조를 해보고자 합니다.
2. 한국어의 일반적 특성
2.1. 형태적 특성
2.1.1. 음운적 특성
한국어의 음운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음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어의 자음은 평음, 경음, 유기음이 삼중으로 대립하고 있다.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와 같이 음의 강도에 따라 대립하는 삼중대립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다른 언어들이 울림의 유무에 따른 대립을 가지는 것과는 구분된다.
둘째, 한국어 음절 말에 위치한 파열음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마찰음으로 발음되는 음절말 평파열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국'이라는 단어에서 ㄱ 발음이 폐쇄되지 않고 마찰음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된다.
셋째, 한국어의 ㄹ, ㄴ 자음은 후행 모음에 따라 발음이 제약되는 두음법칙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라면'이라는 단어에서 ㄹ은 /라/로 발음되지만, '너'라는 단어에서 ㄹ은 /너/로 발음된다.
넷째, 한국어는 자음군의 연쇄를 허용하지 않아 자음군 단순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라는 단어에서 자음군 'tl'이 /t/로 단순화되어 발음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어두 자음군이 완전히 허용되지 않는다.
다섯째, 한국어에는 풍부한 의성어와 의태어가 발달되어 있다.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와 동작이나 모양을 흉내 낸 의태어가 활발하게 사용된다.
이처럼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음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2.1.2. 형태적 특성
한국어는 형태적으로 첨가어이자 교착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어근에 파생접사가 달라붙어 단어를...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교재
국립국어원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어, 일본어, 영어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분석(A Cognitive Analysis of the Korean, Japanese and English Expressions) - 이윤옥
영,한 음운 및 어휘의 대조분석 – 이계순
문장 구조(어순)와 의식 구조 사이의 상관관계 : 한국어와 영어 비교 연구 - 김영국
대조언어학 - 허용, 김선정 / 소통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문법 강의』, 이승왕, 한국문화사, 2021.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홍종선, 신지영, 정명숙 외, 한국문화사, 2021.
『쉽게 쓴 한국어학개론』, 문금현, 한국문화사, 2022.
『한국어학 개론』, 이석주, 이주행, 보고사, 2014.
『한국어학의 이해』, 박덕유, 한국문화사,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의 이해』, 김경령, 한국문화사, 2022.
「한국어 인사 표현의 유형과 특징」, 『세계한국어문학 창간호』, 문금현, 세계한국어문학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