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별적 복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별적 복지제도와 보편적 복지제도
2.1. 선별적 복지제도
2.1.1. 개념
2.1.2. 장단점
2.1.3. 국내의 사례
2.2. 보편적 복지제도
2.2.1. 개념
2.2.2. 장단점
2.2.3. 국내의 사례
3. 복지정책에 대한 견해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 세계 대다수 국가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복지정책을 세우고 시행하고 있다. 이는 단지 국민들 삶의 질을 높여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한다는 목적 이외에 국민들에게 복지라는 튼튼한 '안전망'을 제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무언가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끊임없는 혁신과 성장이 사회 내부에서 이뤄져 또다시 더 나은 복지라는 선순환을 이어가기 위해서다. 이런 목적으로 각국 정부는 여러 가지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 한정된 재원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복지혜택을 시행해야 하는 딜레마를 안고 정책을 설계한다. 한정된 재원과 많은 대상자 가운데 어느 한쪽을 포기하기도 하는데, 복지정책은 크게 누가 그 혜택을 받느냐에 따라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로 나뉜다.
2. 선별적 복지제도와 보편적 복지제도
2.1. 선별적 복지제도
2.1.1. 개념
선별적 복지제도의 개념은 "한정된 재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대상자를 고르고 그들에게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회적 약자로 판단되는 저소득층이나 취약계층을 선별하여 이들에게 선별적으로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조합주의와 잔여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며, 복지 혜택이 절실한 계층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한정된 예산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할당시키는 것을 정당화한다. 선별적 복지제도는 효율성과 비용 절감의 측면에서 효과적이지만, 수혜 대상자에게 낙인감과 인권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2.1.2. 장단점
선별적 복지의 장점은 사회적 약자에게 최소한의 생존권을 보장하며, 수혜자가 현재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구별을 심화시키게 만드는데 있다. 선별적 복지제도에서 수급자들은 그들의 상황을 더 좋지 않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들이 해결 가능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제도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원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해 정부는 까다로운 심사를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대상자는 번거로움과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자기가 가...
참고 자료
강충경, <보편적 복지국가, 핀란드식의'디지털복지'가 정답이다>, 프레시안, 2020.12.14.
고찬유, <선택적 복지, 60대 이상 선호… 연령 낮을수록 "비례적 복지">, 한국일보, 2015.2.23.
권혁주; 김효정; 송재환, 보편적 복지에 대한 규범론적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2호(2012 여름): 161~184쪽.
이용욱, <보편적 복지냐 선택적 복지냐… 정치권 뜨거운 논전>, 경향신문, 2011.1.11.
이진영; 황상현, <선별적 vs. 보편적 복지지출과 빈곤에 관한 실증연구:EU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11권 제2호, 2쪽.
전영준; 김성태; 김진영, <복지패러다임 전환의 경제적 효과- 보편적 복지 vs. 선택적 복지>, 경제학연구, 2013, vol. 61, no. 2.
황상현, <보편적 복지의 겉과 속>, 창&논, 2011.5, vol.5, 52~53쪽.
김미혜, 정진경 저, 사회복지 정책분석론. 2007, 동인
유근춘 외, 보편적복지와 선별적복지의 조화적 발전방안. 20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송혁, 복지수혜가 복짙태도에 미치는 영향. 2016, 대구대학교 대학원
곽채기, 청년수당이 불붙일 지자체 간 복지 전쟁. 2016, 동아일보
최영, 보편적 아동수당을 지켜내야 하는 이유. 2018, 프레시안 뉴스
2차 재난지원금, 저소득층·고용취약계층에 선별적 지원. – 경남신문 –- 이상권, 김희진 기자 - 2020.09.06
‘갈지자 행보’ 코로나 재난지원금. - 대구일보 - - 지국현 논설실장 -202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