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보육과정의 구성요소와 중요성
1.1. 보육과정의 구성요소
1.1.1. 보육 목적과 목표 설정
보육의 목적과 목표는 보육서비스가 등장한 배경 및 현재의 존재 이유를 반영하고, 보육대상 및 보육수요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즉, 보육의 목적과 목표는 영유아와 부모와 가정의 복지를 고려하여 보육 대상 영유아의 수요와 보육 수요자의 수요를 실현하는 것이다. 특히 보육의 목표는 영유아의 필요와 관심에 부합해야 한다. 영유아는 기본적으로 영양, 휴식 및 활동 등 신체적·생리적 욕구, 사랑과 소속감과 사회적 관계 등 사회적 욕구, 자기 성장과 발달에 관한 심리적 욕구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육의 목표는 이러한 욕구를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영유아 연령에 맞는 수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그리고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주도하려면 그 활동이 영유아에게 흥미로울 것이다. 취미가 보육목표의 핵심이 되어서는 안 되지만 보육목표 설정에서도 영유아의 흥미와 흥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1.1.2. 보육 내용 선정
보육 내용 선정은 보육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 보육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이다. 선정된 보육 내용은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그리고 가정환경 및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영유아의 연령 특성과 개별적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보육 내용을 선정한다. 영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언어적 발달에 적합한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통해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다. 예를 들어, 영아기에는 기본적인 생활 습관 기르기, 신체 발달 증진, 정서적 안정감 형성 등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한 보육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영유아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내용으로 구성함으로써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유아가 관심을 보이는 동물이나 자연 현상 등을 주제로 한 활동들을 선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보육 대상 영유아의 가정환경과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보육 내용을 선정한다. 영유아의 가정생활, 지역사회의 문화 등을 반영함으로써 영유아가 익숙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도모하고, 배운 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보육 내용은 분야별로 통일성 있게 선정하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신체, 언어, 사회·정서, 인지 등 다양한 발달 영역을 고루 포함하여 영유아의 전인적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