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실체법으로서 헌법은 국가의 통치조직과 통치작용의 기본원리 및 기본권을 보장하는 근본 규범으로 국가의 통치와 국민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국민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헌법을 이해하기 위해서 1948년 제헌헌법부터 현행 헌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헌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헌법은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임시 헌법을 기원으로 하면서 1948년 7월 17일 제헌 국회에서 제헌 헌법이 제정된 이후 총 아홉 차례 개정되었다"" 아홉 차례의 개정 중에서 두 번은 군사쿠테타 이후 네 번은 장기 집권을 위해 헌법이 개정되었다""
헌법 개정을 의미하는 개헌의 시도나 횟수가 많고 적음은 그 자체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개헌은 '누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가 중요한데, 통치의 정당성, 과정과 내용의 중요성을 논하고자 할 때 아홉 차례의 개헌 중 헌법 개정의 방식이 국민적 합의와 의지가 반영되어 법률이 정한 절차에 따라 정당하게 진행되었는지 또는 정치인이나 권력자의 특정 의도와 목적에 의해서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진행되었는지 그 여부를 살펴보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제헌국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헌정사를 개헌 배경과 내용, 특징,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헌법 개정 방안과 형식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법학적 평가에 관하여
사회과학 영역에 있어서 어떤 현상을 평가하는 관점은 자연과학의 영역과 달리 명확히 구분되어있지 않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공통교육과정에서 접할 수 있는 '과학'의 영역은 이처럼 학문별 분과가 단속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강학상으로 놓고볼 땐 우리가 논해야 할 헌정사 역시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윤리·도덕적, 법적인 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견 전자의 분류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러한 각 관점에서의 평가는 사회과학이 내포하고 있는 내적 의미상, 상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인간사회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 모든 것은 유기적으로 연결돼있기에 그렇다""
필자가 이 글에서 실시할 법적인 평가 내지 법학적인 평가란 역대 헌법의 형식과 내용을 법적인 관점에서 이것의 우수한 점과 그릇된 점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법은 필연적으로 가치를 포함할 수밖에 없으며 정치적인 배경을 두고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가치평가와 역사적 배경에 대한 판단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이를 전체적·종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