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간호 CPR 자료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 CPR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폐소생술(CPR)
1.1. 정의
1.2. 목적
1.3. 방법
1.3.1. 반응의 확인
1.3.2. 구조 요청 및 자동제세동기 요청
1.3.3. 호흡과 맥박 확인
1.3.4.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
1.3.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1.3.6. 회복 자세
1.4. 전문소생술(ACLS)
1.4.1. 제세동이 필요한 경우
1.4.2. 제세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1.5. 간호

2. 고혈압
2.1. 정의
2.2. 원인
2.2.1. 원발성 고혈압
2.2.2. 이차성 고혈압
2.3. 증상 및 징후
2.3.1. 이차성 고혈압의 증상
2.3.2. 고혈압 위기
2.3.3. 악성 고혈압
2.4. 진단
2.5. 약물 치료
2.5.1. Thiazide 이뇨제
2.5.2. β 차단제
2.5.3. 칼슘통로 차단제
2.5.4. ACE 억제제
2.5.5.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2.6. 예방

3. 고혈압성 뇌출혈
3.1. 정의
3.2. 원인
3.3. 증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CPR)
1.1. 정의

심폐소생술(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정지란 심장이 자율적으로 펌프 작용이 되지 않아 박동이 멈추거나 불규칙하여 효과적으로 혈액 순환이 되지 못하는 상태로 이 상태가 되면 호흡도 곧 멈추게 된다. 발생 후 4~6분이 지나면 뇌에 혈액 공급이 끊기면서 뇌 손상이 급격히 진행된다. 이때, 즉시 119에 연락하거나 응급구조팀에게 연락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여 뇌 손상과 사망을 예방해야 한다.


1.2. 목적

심폐소생술(CPR)의 목적은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추게 되었을 때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뇌의 손상 또는 사망을 지연시키고자 현장에서 신속하게 실시하는 것이다. 심장이 정지되어 순환되지 않은 채 4~6분이 지나면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뇌가 손상되기 시작하며 10분부터는 뇌 이외의 다른 장기들도 손상되기 시작하므로, 심정지 발생 후 늦어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서 제세동과 병원 치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중단 없이 계속해야 한다. 이때 시간 내에 응급조치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은 3배까지 높아진다.


1.3. 방법
1.3.1. 반응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한 뒤에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목소리로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는 환자라면 대답하거나 움직이거나, 또는 신음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야 한다. 119 신고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즉시 큰 소리로 주변에 한 사람을 지목하여 119 신고를 요청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1.3.2. 구조 요청 및 자동제세동기 요청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즉시 큰 소리로 주변에 한 사람을 지목하여 119 신고를 요청해야 한다. 주변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직접 119에 신고한다. 만약 주위에 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다면 즉시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심정지 환자에게 신속하게 제세동 처치를 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1.3.3. 호흡과 맥박 확인

호흡과 맥박 확인은 심폐소생술의 중요한 단계이다. 쓰러진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환자의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인은 호흡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응급 의료 전화 상담원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맥박 확인을 통해 심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상자의 경동맥 맥박을 10초 이내로 신중히 확인하여 맥박이 없으면 심정지로 판단한다. 맥박을 확인하는 위치는 경동맥이 가장 선호되며, 대퇴동맥과 요골동맥도 사용할 수 있다. 맥박 확인 시에는 너무 강하게 눌러서는 안 되며, 느리고 가볍게 접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호흡과 맥박 확인은 심정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단계이다. 의식이 없고 호흡 및 맥박이 없는 경우 심정지로 간주하고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1.3.4.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

흉부압박 및 인공호흡은 심폐소생술의 핵심적인 단계이다.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평한 곳에 등을 대고 앙와위로 눕힌 뒤, 흉골의 아래쪽 1/2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한다. 가슴압박은 성인에서 분당 100~120회의 속도와 약 5cm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시행한다.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한다. 인공호흡은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킨 뒤 1초에 걸쳐서 숨을 불어넣는다. 숨을 불어넣을 때는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꺼려질 때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 시행할 수 있다.


1.3.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은 심폐소생술의 핵심적인 단계이다. 구조자는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한다. 이때 다른 구조자가 있는 경우에는 한 구조자는 가슴압박을, 다른 구조자는 인공호흡을 담당하여 교대로 시행한다.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5주기(30:2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5회)까지 진행한 뒤 서로 역할을 바꾸어 시행한다. 이렇게 지속적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은 환자의 심장과 뇌에 산소를 공급하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효과적인 조합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3.6. 회복 자세

가슴압박 소생술을 시행하던 중에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면, 호흡도 회복되었는지 확인한다.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그 후 환자의 반응과 호흡을 관찰해야 한다. 환자의 반응과 정상적인 호흡이 없어지면 심정지가 재발한 것이므로 신속히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한다.

옆으로 돌려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환자의 머리를 젖혀주고 턱을 ...


참고 자료

유양숙 외, 「제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2, P710~712
대한심폐소생협회, “심폐소생술”, https://www.kacpr.org/, 2024. 01. 09
한국전문소생술(Provider Manual of Korea Advanced Life Support) – 군자출판사
https://cpr.heart.org/AHAECC/CPRAndECC/Programs/UCM_473193_Programs.jsp
미국심장협회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7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2015, p.206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7, p609~620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7, p36~42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대한의학서적, 2009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심폐소생술 관리규정』2010
대한응급의학회지 『제2부:기본소생술』대한응급의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6, p9~25
사례, 중앙보훈병원, CIM병동, 2018
CPR 역할, 중앙보훈병원, 각 병동, 2018
심폐소생술 관리규정, 동국대학교일산병원, 심폐소생위원회, 2010
2008년 신규간호사 예비교육 지침서, 건국대학교병원, 2008, p157-171
고혈압,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200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