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직무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원봉사의 이해
2.1.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2.2. 자원봉사의 유형과 분류
3. 자원봉사자의 역할
4. 자원봉사의 직무개발과 직무설계
4.1. 자원봉사의 직무개발
4.2. 자원봉사의 직무설계
4.3. 효과적인 직무 개발 및 직무 설계
5. 전문적인 자원봉사관리의 중요성
5.1. 자원봉사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5.2.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책임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가 활발하게 이뤄진 지는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20년 넘게 자원봉사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자원봉사가 체계적으로 이뤄진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며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수준 또한 아직까지 미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미 2005년부터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이 제정되고 다음 해에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시행령이 제정되는 등 제도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화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여전히 우리사회에 있어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고 왜곡되어 있는 부분이 많다. 중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을 의무화하고 제도화하였지만 이는 결국 자원봉사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강화하는데 주된 원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자원봉사활동 현황 자료를 봤을 때 연령을 기준으로 10대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비율은 매우 높지만 20대에 들어서면서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알 수 있는 사실은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적인 특성을 갖기 보다는 보상 및 혜택의 차원이 보다 강조된다는 것이다. 자원봉사활동을 해야만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고 졸업을 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을 수 있는 등 자원봉사활동의 궁극적 가치와 의미가 왜곡된 부분이 많으며 이는 자원봉사의 비약적 발전과 활성화를 막는 원인이 되고 있다.
2. 자원봉사의 이해
2.1.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는 자발성, 공익성, 자유의지, 이타주의, 박애주의, 이상주의, 조직화, 복합성과 다양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원봉사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스스로 강요받지 않는 상태에서 타인과 사회를 위해 헌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봉사활동은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집단적 행위 등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사회 속에 함께 존재해왔다.
현대 사회에서 자원봉사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이자 제도적 요청으로 주목받고 있다. UN을 비롯한 세계 국제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을 조직적, 제도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자원봉사 관리의 체계화, 전문화를 중요시하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즉, 봉사활동이 보다 공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자원봉사는 누가, 무엇을, 왜,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접근이 달라질 수 있고 다양한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를 위해서는 어떤 분야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싶은지, 내가 얼마나 활동을 할 수 있고 무슨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먼저 파악하고 보다 세분화하여 참여 기관 및 봉사활동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2.2. 자원봉사의 유형과 분류
자원봉사의 유형과 분류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는 그 유형과 분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우선 자원봉사의 수혜대상에 따라 분류하면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원봉사와 ...
참고 자료
오세영(2015), 원광대학교 자원봉사론 공개강의 자료.
박차상(2013), 제주대학교 자원봉사론 공개강의 자료.
박차상, 자원봉사론, 창지사, 2014, pp.11~19.
구승신, 자원봉사론, 정민사, 2016, pp.22~27.
비대면 봉사활동에는 무엇이 있을까? 대전광역시 NGO지원센터, 2020
박태영, 채현탁 외 2명 저, 자원봉사론, 공동체, 2021
김범수 저, 자원봉사론, 학지사, 2021
이근홍 저, 자원봉사론, 지식공동체, 2020
김혜영, 유진희, 신원정 저, 자원봉사론, 어가, 2018
류기형, 남미애 외 4명 저, 자원봉사론, 양서원, 2018
구혜영 저, 자원봉사론, 신정, 2018
임은희, 홍숙자, 김민석 저, 자원봉사론, 정민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