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기 감염
1.1. 일반적 특성
1.1.1. Upper respiratory infection
상기도 감염(Upper respiratory infection)은 코와 인두 부위에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 상기도 감염은 호흡기 감염의 가장 흔한 유형으로, 다양한 바이러스와 세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기도 감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콧물, 코 막힘, 재채기, 인후통 등이다. 이외에도 발열, 두통, 피로감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대부분의 상기도 감염은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상기도 감염의 주된 원인 병원체는 바이러스이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이다. 세균 감염의 경우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등이 관여한다.
상기도 감염은 주로 3세 미만 영아와 유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는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가 점차 소실되고 영아의 자체 면역 반응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5세 이후에는 바이러스 감염이 감소하고 세균 감염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도 기도의 크기와 표면적이 작은 것도 상기도 감염의 특징이다. 호흡기 질환 발생 시 이를 감당해내기 어려워 기도 폐쇄나 호흡곤란이 쉽게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알레르기나 천식이 동반된 경우에도 상기도 감염에 취약하다.
계절적으로는 겨울과 봄철에 상기도 감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는 추운 날씨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호중재로는 호흡 곤란 예방, 휴식 제공, 안위 증진, 감염 관리, 수분 및 영양 공급 등이 포함된다. 특히 영아의 경우 호흡기 질환에 매우 취약하므로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
상기도 감염은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의료진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1.2. Lower respiratory infection
'하기도 감염'은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포 등의 하부 호흡기관에 발생하는 감염을 말한다. 하기도 감염에는 크루프, 급성 후두개염, 기관지염, 급성 세기관지염, 세균 기관염 등이 포함된다.
하기도 감염은 상기도 감염에 비해 더 심각한 질환으로 간주된다. 하기도 감염은 기도의 내경이 좁아 기도 저항이 증가하여 기도폐쇄가 쉽게 발생하고, 직접 가스교환이 이뤄지는 폐포 표면적이 적어 병원체에 의한 폐실질 손상이 크기 때문이다.
또한 영아와 유소아의 경우 면역기능이 미숙하고 기도의 내경이 작아 하기도 감염에 취약하다. 따라서 하기도 감염은 영아와 유소아에게서 더 위중한 증상을 나타내며, 특히 신생아와 생후 1년 미만의 영아에게서 치명적일 수 있다.
하기도 감염의 대표적인 병원체로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폐렴구균 등이 있다. 이들 병원체는 대부분 상기도 감염 후 하부 호흡기로 침범하여 증상을 일으킨다.
특히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게서 발생하는 급성 세기관지염은 RSV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하기도 감염이다. RSV는 세기관지 상피세포를 직접 침범하여 기도 내 부종과 점액 분비를 유발함으로써 세기관지 폐쇄를 초래한다. 급성 세기관지염 환자는 호흡곤란, 빈호흡, 천명음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한 경우 호흡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하기도 감염은 기도 폐쇄와 호흡부전을 유발할 수 있어 상기도 감염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다. 따라서 하기도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영아와 유소아에게서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1.1.3. Croup 증후군
Croup 증후군은 급성 상기도 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3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에게 발생한다"" 이는 후두가 부어올라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워지는 질환을 말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킹킹 거리는 기침(barking cough), 쉰 목소리, 흡기 시 협착음(stridor)이 나타나며, 가족 중 비슷한 상기도 감염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빠른 호흡, 흉곽 함몰, 지속적 흡기 시 협착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상태가 심각하게 진행된 것으로, 호흡부전이 첫 증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 경우 건강하던 아이가 고열과 인후통을 호소하다가 수시간 내로 상태가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후두개 부종과 통증으로 인해 음식물이나 침 삼키기가 어려워지면서 침을 흘리고 호흡곤란이 심해지게 된다"" 이때 삼각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몸을 앞으로 숙이고 팔로 상체를 지탱하며 턱을 들고 입을 벌리는 자세이다"" 숨 차서 초조해하는 증상이 나타난 직후에는 곧바로 심한 청색증과 의식소실로 이어질 수 있어 치명적일 수 있다""
Croup 증후군의 진단은 후두경 검사를 통해 부어오른 붉은 후두개를 관찰하거나, X-ray 검사에서 후두개가 부어 보이는 소견(thumb sign)을 확인하여 이루어진다"" 치료는 빠른 시간 내에 항생제를 투여하며, 기도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사망률은 1% 미만이지만 삽관이 불가능한 경우 사망률이 6%에 달할 수 있다"" 따라서 앉아있는 자세를 유지하고 아이가 울거나 흥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1.2. 병인과 특성
1.2.1. 감염원
호흡기 감염의 주요 감염원은 바이러스와 세균이다.
바이러스 감염원으로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주로 호흡기 상피세포를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킨다. RSV는 영유아들에게 가장 흔한 상기도 및 하기도 감염의 원인이 된다.
세균 감염원으로는 A군 B-용혈성 연쇄상구균,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출혈성 인플루엔자균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세균은 상기도와 하기도의 점막을 직접 침범하여 염증을 유발하거나, 혈행성 또는 림프행성으로 전파되어 폐렴을 일으킨다. 또한 A군 연쇄상구균 감염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류마티스열도 하나의 감염 합병증이다.
이 외에도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과 클라미디아 폐렴균 등의 비정형 세균들도 호흡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 비정형 세균은 주로 연장아 및 학령기 아동에게서 폐렴의 원인이 된다.
아동의 호흡기 감염 발생에는 이러한 다양한 병원체가 관여하며, 감염의 위험요인과 계절적 변화에 따라 주요 병원체도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1.2.2. 연령
3세 미만의 영아는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의 작용으로 감염률이 낮지만, 3~6세 사이의 유아는 모체로부터의 항체가 사라지고 영아의 항체 생성이 불완전하여 감염률이 상승한다. 5세가 되면서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 감소하지만,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과 A군 B-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한 감염이 증가한다. 연장아에게는 경증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영아에게는 중증의 하기도 감염이나 크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백일해는 연장아에게는 단순한 기관기관지염이지만, 영아에게는 치명적인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