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연간 지도 계획안
1.1. 월별 주제, 전래동요, 전래놀이, 전통음악, 한자성어
월별 주제, 전래동요, 전래놀이, 전통음악, 한자성어는 다음과 같다"
3월 주제는 "즐거운 유치원"이며, 전래동요로는 "똘이 장군"과 "꼬마야 꼬마야"를, 전래놀이로는 "이박저박", "가위,바위,보 업어주기", "다리셈놀이"를, 전통음악으로는 "전통 악기의 종류를 알고 소리 듣기"와 "사물의 이름과 소리듣기"를, 한자성어로는 "죽마고우", "청출어람"을 다루었다"
4월 주제는 "봄"이며, 전래동요로는 "대문 놀이"와 "여우야 여우야"를, 전래놀이로는 "대문 놀이"와 "기차놀이"를, 전통음악으로는 "장구의 명칭", "장구의사용법", "장구소리내기와 말놀이", "휘모리 장단"을, 한자성어로는 "대기만성", "다다익선"을 다루었다"
5월 주제는 "나와 가족"이며, 전래동요로는 "이박저박", "꼭꼭 숨어라"를, 전래놀이로는 "손치기 발치기", "까막 잡기", "숨박꼭질", "땅 넓히기", "고사리 꺽기"를, 전통음악으로는 "휘모리 장단"과 "동살풀이 장단"을, 한자성어로는 "이심전심", "군자삼락"을 다루었다"
6월 주제는 "동물"이며, 전래동요로는 "뒷산 늙은 호랭이"와 "둥개둥개둥개야"를, 전래놀이로는 "방구이야기", "씨름하기", "그네뛰기", "수건돌리기"를, 전통음악으로는 "동살풀이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을, 한자성어로는 "맹모삼천", "백발백중"을 다루었다"
7월 주제는 "여름"이며, 전래동요로는 "산도깨비"와 "가위,바위,보"를, 전래놀이로는 "어미세끼"를, 전통음악으로는 "굿거리 장단"을, 한자성어로는 "파죽지세", "조삼모사"를 다루었다"
9월 주제는 "도구와 기계"이며, 전래동요로는 "저달 봤나?"와 "강강 수월래"를, 전래놀이로는 "가마타기", "저달 봤나?", "덕석 몰이"를, 전통음악으로는 "별달 거리(장구)", "별달 거리(북)", "별달 거리(쇠)", "덧배기쌍진풀이Ⅰ,Ⅱ"를, 한자성어로는 "천고마비", "형설지공"을 다루었다"
10월 주제는 "가을"이며, 전래동요로는 "곰돌이"와 "아침에도 땡"을, 전래놀이로는 "잠자리 꽁꽁", "그림그리기", "줄넘기", "줄씨름"을, 전통음악으로는 "덧배기쌍진풀이Ⅰ,Ⅱ", "쌍진풀이 Ⅱ울림채,맺음채", "쌍진풀이 Ⅱ(북)", "쌍진풀이 Ⅱ(쇠)"를, 한자성어로는 "결초보은", "사면초가"를 다루었다"
11월 주제는 "우리나라와 세계여러나라"이며, 전래동요로는 "진도기와 밟기", "숫자놀이"를, 전래놀이로는 "기차놀이(지도)", "얼음,땡", "고무줄 놀이"를, 전통음악으로는 "사물 연주"를, 한자성어로는 "사해형제", "모순"을 다루었다"
12월과 2월 주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