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약리학 중간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heart)
2.2. 심장세부구조
2.3.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3. 심혈질환의 간호 중재
3.1. 사정
3.2. 진단
3.3. 계획
3.4. 수행
3.5. 평가
3.6. 임상주의
4. 환자와 가족 교육
5. 심혈질환과 관련된 약물
5.1. 항고혈압제
5.2. 이뇨제
5.3. 혈관확장제
5.4. 항혈소판 제제
5.5. 고지혈증 제제
5.6. 쿠마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학년이 되면서 전공 교과들이 이전 학년보다 꽤 늘어났다. 양도 양이지만 배우는 내용의 깊이가 1학년 때와는 달라졌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체제와 간호방법과 술기들을 배우는 기본간호학, 미생물들에 대해 구체적인 개념과 이에 발현될 수 있는 질환 및 증상들을 배우는 미생물학 그리고 임상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 중 하나인 약물들의 종류와 기전, 주 용도와 그 주의사항을 배울 수 있는 약리학을 배우게 되었다. 사실 약리학이란 과목을 배우기 전에 선배 들께 미리 들은 게 많아서인지 걱정이 되었지만 그만큼 기대도 많았던 과목이다. 예상했던 것만큼 양도 많았고 한 종류의 약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고 약 이름을 암기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의료인이 되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공부라고 생각하니 그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해 중간고사를 치를 수 있었다. 시험을 치니 과제가 기다리고 있었다. 주제는 '심혈관계 약물요법 대상자의 간호와 교육'이다. 수업시간에 이미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 파트를 배웠지만 간호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접하기 힘들었는데, 이번 레포트 작성 시간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고민해볼 수 있는 시간을 보내게 되어 '약리학'과목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듯 하였다.
2. 심혈관계 해부학적 구조
2.1. 심장(heart)
심장(heart)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관으로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의 역할을 한다. 심장은 가슴안, 폐사이에 위치하며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심장은 근육주머니로 되어 있으며 심장막(pericardium)에 싸여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우에 각각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이 있으며 왼쪽 심장이 크다. 심방은 혈액을 모아두는 부분이고, 심실은 혈액을 밀어내는 부분으로 벽이 두껍다. 또한 심장에는 4개의 판막(valve)이 존재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좌우를 구분하는 중격(septum)이 있는데, 태아 때는 좌우심방사이에 타원구멍이 있지만 출생 시 이것이 막혀 폐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2.2. 심장세부구조
심장세부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끝(심첨, apex of heart)은 심장의 왼쪽 아래 부분이며, 심첨음이 청진되는 부위는 5번째 갈비뼈와 왼쪽 유두선 사이이다. 심장바닥(base of heart)은 심장의 위쪽 편평한 부분이다.
심장벽은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안쪽의 심장속막(endocardium)은 단층 편평상피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장판막을 구성한다. 중간층인 심장근육층(myocardium)은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특히 좌심실근이 가장 두껍다. 가장 바깥층인 심장바깥막(epicardium)은 2층의 장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2.3.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는 효율적으로 혈액을 보내기 위해 자극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수한 심장근육세포에 의해 활동전위를 생성하여 전도계통을 통해 신호를 전달한다.
심장전도계는 굴심방결절(sinoatrial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방실다발(atrioventricular bundle), 좌우갈래(bundle branch), 푸르킨예섬유(purkinje fiber) 등으로 구성된다. 굴심방결절이 심장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자동능력의 중심이 되며, 방실결절은 심실에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방실다발, 좌우갈래, 푸르킨예섬유를 통해 심실로 전도되어 심...
참고 자료
약리학 (제13판), 김진학 외, 정문각, 2021.08.15
황옥남 외 8명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8
전시자 외 29명 저, 『간호과정』, 현문사, 2004
정담 편집부 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정담, 2013
백운철 외 25명 저, 『핵심병리학』, 은학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