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커스 마케팅원론 전기자동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쟁의 개념
2.1. 상품형태(Product Form) 수준의 경쟁
2.2. 상품범주(Product Category) 수준의 경쟁
2.3. 본원적 편익(Intrinsic Benefit) 수준의 경쟁
2.4. 예산(Budget) 수준의 경쟁
3. 경쟁우위 분석 과정
3.1. 경쟁자 파악
3.1.1. 기업 중심적 방법
3.1.1.1. 상품/시장 매트릭스
3.1.1.2. 기술적 대체가능성 판단
3.1.1.3. 표준산업분류 활용
3.1.2. 고객 중심적 방법
3.1.2.1. 상품 제거
3.1.2.2. 고객 행동 분석
3.2. 경쟁자의 목표 및 전략 파악
3.3. 경쟁자의 강점과 약점 파악
3.4. 경쟁자의 미래 행동 예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50년 전 자동차 회사는 컴퓨터 기업들이 경쟁 상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상상이나 했을까? 과거에는 경쟁 상대라 여겨지지 않았던 대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의 대상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렇다면 50년 뒤에 자동차 회사는 또 어떠한 경쟁상대와 새롭게 경쟁하게 될까? 그리고, 이 답들에 정답을 찾지 못한 기업들은 어떻게 될까? 기업은 살아 남기 위해 반드시 위의 질문들에 고민하며 대비해야 한다. 만약 정답을 찾지 못했다면 새로운 경쟁 기업에게 기업의 점유율을 빼앗기고, 그 자리를 되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속적인 기업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경쟁의 개념을 확인하고, 시장 안에서 기업이 지속 가능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경쟁 우위 분석 방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 경쟁의 개념
2.1. 상품형태(Product Form) 수준의 경쟁
상품형태(Product Form) 수준의 경쟁은 동일한 형태의 제품들 간의 경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와 펩시는 상품형태 수준의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동일한 탄산음료라는 제품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품형태 수준의 경쟁은 가장 좁은 범위의 경쟁 개념으로, 동종 제품들 간의 경쟁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상품형태 수준에서의 경쟁은 소비자에게 거의 동일한 편익을 제공하는 제품들 간의 경쟁을 뜻하며, 기업들은 주로 가격, 품질, 서비스 등의 차별화 요소를 통해 경쟁하게 된다.
2.2. 상품범주(Product Category) 수준의 경쟁
상품범주(Product Category) 수준의 경쟁은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범주의 제품들 간의 경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의 경쟁자는 같은 콜라인 펩시뿐 아니라 탄산음료인 사이다, 환타 등이 포함된다. 이는 상품형태 수준의 경쟁보다는 더 폭넓은 개념으로, 고객에게 비슷한 편익을 줄 수 있는 대체재들 간의 경쟁을 의미한다.
상품범주 수준에서의 경쟁은 고객의 관점에서 유사한 제품들 간의 대체 가능성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고객들은 제품의 외형이나 브랜드보다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상품범주 수준에서의 경쟁자 분석은 보다 현실적이고 고객지향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업은 상품범주 수준에서의 경쟁자를 파악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고객의 요구를 더욱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등장은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경쟁 범위를 넓혀 놓았다. 고객들은 자동차의 동력원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동수단이라는 본원적 편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전기차 업체들은 기존 자동차 업체들과 상품범주 수준에서 경쟁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등 새로운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종합하면, 상품범주 수준의 경쟁은 고객이 지각하는 편익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기업은 이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고객지향적인 경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3. 본원적 편익(Intrinsic Benefit) 수준의 경쟁
본원적 편익(Intrinsic Benefit) 수준의 경쟁이란 제품의 형태나 범주는 다르지만 고객에게 제공하는 근본적인 편익이 같은 제품들 간의 경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는 탄산음료라는 상품범주에 속하지만, 고객의 갈증을 해소해준다는 근본적인 편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탄산음료뿐만 아니라 물, 주스, 스포츠음료 등의 경쟁자들과도 경...
참고 자료
글로벌오토뉴스, 2022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9.9%- 중국·유럽·미국이 93.3%., 글로벌오토뉴스, 2023., https://auto.danawa.com/news/?Tab=N1&Work=detail&no=5279083
이본영, 미국 정부, 전기차 판매 비중 지난해 5.8%→2032년 67%로., 한겨레., 2023.,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087081.html
연합뉴스, 가열되는 전기차 경쟁…완성차업체 속도 내고 IT업체도 도전장: 완성차업체들, 올해 전기차 속속 출시…IT업체들은 완성차업체와 합종연횡., 연합뉴스., 2021.,
https://www.sciencetimes.co.kr/news/가열되는-전기차-경쟁완성차업체-속도-내고-it업체/
정갑연, 마케팅원론,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2023.
이원호, <이원호의 경제톡> 전기차 시장을 노리는 IT기업들., 빅터뉴스., 2021., http://www.bigtanews.co.kr/article/view/big202109050003
Niranjan Manohar, “CES 2020 Expectations –Roadmap for a C.A.S.E.-enabled Mobility Ecosystem” Frost & sullivan., 2020,
https://ww2.frost.com/frost-perspectives/ces-2020-expectations-roadmap-for-a-c-a-s-e-enabled-mobility-ec system/ (retrieved September 12, 2020).
정희윤, 효과적인 자동차용 인공지능 음성 인터페이스 UX 디자인을 위한 요인 상관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2020.
이지스톡, 2023년 1분기 전 세계 전기차 판매량 32% 증가., 이지스톡., 2023.,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asystock/easy/contents/*************61ie
[해커스] 마케팅원론 교안, 강의
[빅터뉴스] <이원호의 경제톡> 전기차 시장을 노리는 IT기업들 2021.09.06
http://www.bigt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57
[네이버 블로그] 정보문화사 IT 기업은 왜 전기차 개발에 참여할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580072&memberNo=15488377
2022년 해커스 평생교육원 마케팅원론 학습자료 30p~39p
네이버 지식백과, “경쟁(competition)”, 경제학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경쟁우위(Competitive Advantage)”,HRD 용어사전, [한국기업교육학회]
이봉의(2011), “질서정책적 과제로서의 경쟁 : 과거와 미래”[경쟁법연구 23권], 법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