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달의 개념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1.1. 발달의 개념
1.1.1. 발달의 정의
발달은 생명체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출생에서 죽을 때까지의 시간적 변화과정을 나타내며, 이러한 변화는 점진적, 연쇄적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경우에는 출생에서부터 어린이가 제 고유한 소질과 주변 환경을 연결함으로써 변화의 절차를 밟으며 환경에 적응하며 개성을 드러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1.1.2. 발달의 양상과 순서
발달의 양상은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먼저 발달은 머리에서 발로 진행되며, 중심부에서 말초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전체적인 활동에서 점차 정교하고 세밀한 부분으로 발달해나간다. 이러한 발달의 양상은 영역에 따라 속도의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언어지능은 높지만 수리지능은 낮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발달은 일정한 순서를 따르는데, 일반적으로 아기가 누워있다가 앉을 수 있게 되고, 그 후 설 수 있게 되며, 걸을 수 있게 되는 순서로 진행된다. 또한 손을 움직이는 능력부터 점차 목표물을 잡는 등 정교한 동작까지 발달해나간다. 이처럼 발달은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을 가지고 점진적으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1.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1.2.1. 신뢰감 대 불신감
영아기에 해당하는 신뢰감 대 불신감의 발달단계는 생후 1년 동안 결정되는데, 이는 영아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어머니가 영아의 요구에 민감하고 반응적으로 대응한다면 영아는 세상이 안전하고 돌보아질 것이라는 신뢰감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어머니가 영아의 요구를 무시하거나 거부적이라면 영아는 세상이 위험하고 불안정하다고 느껴 기본적인 불신감을 갖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신뢰감은 이후 영아의 발달과 대인관계 형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에릭슨은 적절한 수준의 불신감도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이는 영아가 세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 어머니의 반응적인 돌봄이 영아의 안정적인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2. 자율성 대 의혹
유아기에 나타나는 자율성 대 의혹의 발달 단계는 1세에서 3세 사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 유아는 배변 활동이 가능해지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의 의지를 나타내며 무엇인가를 하려고 하는 등 자율성이 발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 유아가 적절한 행동을 수행하지 못하면 수치심과 의혹감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변 훈련에 실패하거나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지 못하면 수치심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유아기에는 자율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만약 수치심과 의혹감을 경험하게 된다면 이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모와 양육자는 유아기 자녀의 자율성 발달을 지원하고 격려함으로써 건강한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
1.2.3. 주도성 대 죄책감
유아기 3세에서 6세의 주도성 대 죄책감 단계는 언어능력이 발달하고 호기심이 증가하며 무엇이든 해보려는 경쟁적인 심리특성이 나타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아동은 자신만의 목적을 세우고 실행하려는 동기를 갖게 되지만, 지나친 강압적 교육이나 처벌로 인해 죄책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적절한 지도와 격려를 통해 아동 스스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제공받는다면 주도성을 잘 발달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죄책감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단계의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면 아동은 자신감과 자발성을 발달시킬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