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부모가구 가계도와 생태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복지론: 나의 원가족 분석
1.1. 서론
1.2. 가계도와 생태도
1.2.1. 가계도의 개념과 작성 방법
1.2.2. 생태도의 개념과 작성 방법
1.3. 나의 가계도 및 생태도 작성과 분석
1.3.1. 나의 가계도 작성 및 분석
1.3.2. 나의 생태도 작성 및 분석
1.4. 나의 가족에 대한 이해와 과제
1.5.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복지론: 나의 원가족 분석
1.1. 서론
가족은 고정되지 않고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해왔다. 현재 우리나라 가족은 기능, 구조, 관계, 생활양식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한부모 가족, 1인 가구, 다문화 가구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불과 30년 전까지만 해도 3세대 이상의 확대가족이 많았지만 요즘은 1세대 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가구원 수 또한 감소되었다. 가족이 해체되면 가족 가치의 혼란이 생겨 위기에 처하게 된다고 보는 보수적인 입장도 있고 개인의 선택과 자유의 폭 확장, 다양성에 대한 이해 증가로 보는 진보적인 입장도 있다. 우리는 가족이라는 기본단위 안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가족 관계는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가족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고 그에 대한 감정과 상태를 공유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1.2. 가계도와 생태도
1.2.1. 가계도의 개념과 작성 방법
가계도는 가족 구성원에 대한 정보와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가족관계를 쉽게 파악이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이다. 가족의 특성, 구조, 관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쉽게 파악하기 어렵거나 표출되지 않은 가족 문제나 가족 문제가 발생한 원인이나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가계도는 보통 3대 이상을 그리는 것이 원칙이며 남성은 사각형으로, 여성은 원으로 표현한다. 부부관계는 이어진 선, 자녀는 이어진 선에서 아래로 파생된 선으로 표시한다. 이를 통해 가족의 정보와 관계, 가족의 역사 등을 도표화하여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경험, 특성, 기질 등을 비교적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1.2.2. 생태도의 개념과 작성 방법
생태도는 가족과 그 가족의 생활공간 내에 있는 사람 및 기관 간의 연계를 그림으로 그려 나타...
참고 자료
정은미, 건강가정을 위한 가정경영 실천전략, 원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정영순, 가계도 작성에서의 신뢰도 검증 : 가족치료 전공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