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 전문직관 이론적 근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페플라우의 간호이론
1.1.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
1.2. 페플라우의 간호이론에 대한 생각
2. 간호전문직 리더십
2.1. 간호전문직관
2.2. 리더십사례의 리더십 문헌고찰
2.3. 리더십 비교분석
2.4. 전문직 리더십 임상사례 분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페플라우의 간호이론
1.1.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은 스승이었던 설리반의 대인관계 연구결과물로부터 대인관계 이론을 개발하였다. 페플라우는 여기에 더불어 프로이트와 매슬로우, 밀러의 이론과 원리 등을 접목시켜 집대성 하였고, 이는 페플라우 본인과 제자들의 실제적인 간호사와 환자 관계에 대한 임상 경험에 근거를 두고 있다.
페플라우는 치료자로서 간호사의 이상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카운슬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간호지식체에 의해 실무가 개선된다는 전문직관을 확립하여 간호가 전문직 학문으로 발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다른 의료 직업들로부터 간호직을 분리시켜 간호과정의 선구자로 추앙받고 있다.
페플라우가 설명하는 간호의 패러다임은 인간, 환경, 건강, 간호로 구분하였다. 인간은 욕구에 의해 생성된 긴장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유기체이며, 대인관계를 통해 발전한다. 환경은 문화와 관계 속에 존재하며 인간 발달에 필수적이다. 건강은 생리적, 대인적 상태가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지고 대인관계 과정을 통하여 증진할 수 있다. 간호는 환자나 건강서비스를 요청하는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맺는 치료적 대인관계 과정으로, 대상자의 삶의 방향을 건강하게 만드는 기능을 담당한다.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은 간호실무, 교육-연구 측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실무적으로는 정신건강과 정신간호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교육-연구적 측면에서는 간호학생과 대학원 교육에 기여하였다. 또한 정신과적 환경에서 간호의 특수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은 나이팅게일 이후 발표된 첫 번째 간호 이론으로, 간호 지식체에 의해 실무가 개선된다는 전문직관을 확립함으로써 간호가 전문직 학문으로 발달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과거 질병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 심리학적 의미를 간호중재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이론은 간결성, 귀납성, 일반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실에 기초한 이론 제공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앞으로 더욱 정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1.2. 페플라우의 간호이론에 대한 생각
페플라우의 간호이론에 대한 생각은 다음과 같다.
페플라우의 대인관계 이론은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자들, 예를 들어 혼수상태의 환자, 노인 환자, 신생아 등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물론 간호사와 환자뿐만 아닌 보호자와의 의사소통도 이루어질 수 ...
참고 자료
김은수·김부길·정정필·관월·박용호, (2022), 조직의 학습문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핵심가치 인식, 조직몰입 간의 관계, 기업교육과인재연구, 24(2), 133-163
조현하·김남희, (2014),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 20권 제4회
최우재, (2021),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28(4), 175-193
한상숙·김명희, (2008), 간호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73-79
황은진, (2021), 서번트 리더십 연구 체계적 논문고찰, 한국조직학회보, 18(3), 173-202
남미정, ”상금 4억원은 아프리카에 내 옷값은 1달러“, 조선경제, 2022.11.06.,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0/09/12/MQVYAST74RFHBMN2QVDUEZ6XVI/
박상익,“ 백영심 간호사‘阿의료선교 30년 말라위에 의대 설립이 꿈”, 한국경제, 2022.11.06.,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7206306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