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교육의 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발전과정 및 역사적 변화
1.1. 초창기 유치원의 형성과 반성(1897~1945년)
1.1.1. 초창기 유치원의 설립
1.1.2. 민중교육운동과 유치원교육
1.1.3. 어린이 운동과 유치원
1.1.4. 초창기 유치원교육의 반성
1.2. 광복 이후 유치원교육의 발전(1945~1969년)
1.3. 교육과정중심의 유아교육 발전기(1970~2015년)
1.3.1. 1970년대 유아교육
1.3.2. 1980년대 유아교육
1.3.3. 1990년대 유아교육
1.3.4. 2000년대 유아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발전과정 및 역사적 변화
1.1. 초창기 유치원의 형성과 반성(1897~1945년)
1.1.1. 초창기 유치원의 설립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은 1897년에 개설된 부산유치원이다. 부산유치원은 대한제국 시기에 설립된 최초의 유치원으로,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에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후 1908년에는 고등여학교령에 따라 관립 한성고등여학교 부속유치원, 이화유치원, 정신유치원, 중앙유치원, 배화유치원, 인천 영화유치원 등이 여학교 부설로 설립되었다. 이처럼 초창기 유치원들은 대부분 여학교에 부속된 형태로 설립되었는데, 이는 당시 조선교육령에 유치원 관련 조항이 없었던 반면 일본에서는 소학교에 유치원을 부설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한편 최초의 우리나라 사람이 설립한 유치원은 1910년에 개설된 밀양유치원이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유치원으로는 1914년에 개설된 이화유치원과 1916년에 개설된 중앙유치원이 있다. 이화유치원과 중앙유치원은 각각 1915년과 1922년에 사범과를 설립함으로써 유치원교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요약하면,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부산유치원을 시작으로 초창기 유치원들은 주로 여학교 부설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민간에서 설립한 유치원들도 등장하면서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1.1.2. 민중교육운동과 유치원교육
1905년 을사조약 이후 1906년 조선총감부 설치로 국권찬탈을 위한 일본의 영향력이 조직화되어 가면서,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일본의 식민지가 된 상황에서 일제는 황국신민화를 위해 초등교육에만 집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와중에 1909년부터 1920년대까지 민중교육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유치원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다.
민중교육운동은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제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이에 따라 1909년에는 전국에 2천여 개의 사립학교가 세워졌다. 이 시기의 유치원 또한 이러한 민중교육운동의 맥락에서 발생하였다. 당시 유치원은 창가와 체조를 중시하고 민족정신을 고취하고자 하였던 교육구국주의 사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민중교육운동의 추진력으로 유치원이 보급되었으나, 유치원교육의 본질이 왜곡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즉, 당시의 유치원에서는 우리말로 하는 노래와 춤이 중심활동이 됨으로써 유치원교육이 마치 노래나 춤으로 보이는 전시성 교육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져오게 하였다는 것이다.
1.1.3. 어린이 운동과 유치원
1919년 3 · 1 독립운동은 좌절되었으나 일본이 유화적 문화 접근을 하였고, 국내에서는 국권 회복을 위한 교육 열의로 강습회 및 야학을 통한 교육계몽운동이 전개되었다. 동경 유학생과 국내 천도교 인사들이 전개한 문화운동인 어린이 운동은 당시 유치원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어린이'란 젊은이, 늙은이에 대비해 대등한 인격적 존재로 인정하는 뜻이 담긴 용어로, 어린이 운동을 주도한 소파 방정환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1923년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했는데, 이는 1954년 UN(국제연합)...
참고 자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유아교육 / 지옥정, 조혜진 저 / 창지사 / 2021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유아교육 / 지옥정, 조혜진 저 / 창지사 / 2021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미래한국, 기독교 가치관 금지하는 정부의 유아교육 커리큐럼, 정희영,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28
네이버 지식백과, 유아교육의 연혁과 개념,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cid=40942&docId=1187872&categoryId=31727
네이버 지식백과, 유아교육과정 모델 [幼兒敎育課程, early childhood curriculum model],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cid=42126&docId=612471&categoryId=42126
유아교육과정의 개념적 분류, https://blog.naver.com/kogg22/222648475636
놀이 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 바로 알기, 정혜욱· 김은영 ·윤진주· 송정아 ·안정원 ·정혜원, 창지사, p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