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의 중요성
1.1. 영유아기 문해력의 발달
1.2. 읽어주기가 단어 인식과 사물 구분에 미치는 영향
1.3.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의 효과
2. 엄마의 눈물
2.1. 당신을 사랑하는 엄마의 마음
2.2. 엄마의 희생
3. 방학 중 해볼 만한 활동
3.1. 일기 쓰기의 효과
3.2. 일기 쓰기의 단계
3.3. 일기 쓰기를 통한 변화
4. 발표 기반 수업과 학생 만족도 분석
4.1. 연구 배경 및 목적
4.2. 연구 문제 및 가설
4.3. 연구 방법
4.4. 연구 결과
4.5. 한계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의 중요성
1.1. 영유아기 문해력의 발달
영유아기 문해력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 및 인지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출생 후부터 책을 읽어주는 경험은 자연스럽게 단어 인식과 사물 구분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영아기 아이들은 글자도 모르고 말도 하지 못하지만, 부모가 들려주는 소리를 통해 단어를 인지하고 그것을 통해 사물을 구분한다.
부모가 책을 소리 내어 읽어줌으로써 문해친화적 환경이 자연스럽게 조성되며, 이를 통해 문해력의 뿌리가 형성된다. 생후 7개월경부터 책을 읽어주는 빈도가 높은 아기일수록 생후 13개월에 단어 인식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가 문해력 발달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부모가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영아기 때부터 접하는 책 읽기 경험은 자연스럽게 문해력의 뿌리를 내리게 하며, 이를 바탕으로 아이의 문해력이 계속 잘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는 아동의 언어 발달과 문해력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1.2. 읽어주기가 단어 인식과 사물 구분에 미치는 영향
읽어주기가 단어 인식과 사물 구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고언숙 교수 연구팀은 생후 7개월 때 부모가 아기에게 책을 읽어준 빈도수가 6개월이 지난 생후 13개월이 되었을 때 아이의 인식에 어떤 영향을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생후 7개월 무렵부터 꾸준히 책을 읽어준 아이들이 생후 13개월이 됐을 때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훨씬 더 많은 단어를 알고 있었다"" 생후 7개월 무렵 일주일에 한 번도 책을 읽어주지 않은 아이들은 단어 인식 정확도가 42퍼센트에 불과했지만, 14회 이상 책을 읽어준 아이들은 58퍼센트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영아기 아이들에게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는 것이 문해력의 뿌리를 튼튼하게 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언숙 교수는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활동은 아이와 굉장히 집중해서 공통 관심사를 갖게 되는 좋은 계기를 마련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주고받는 어휘의 개수도 많아진다"" 또 평소에 하지 않는 말을 책이라는 매개를 통해서 하게 됨으로써 어휘의 습득도 조금 더 촉진되고 자연적으로 문장도 더 잘 구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초기 문해력의 발전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1.3.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의 효과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아기 아이들은 글자도 모르고 말도 하지 못하지만, 부모가 들려주는 소리를 통해 단어를 인지하고 그것을 통해 사물을 구분한다. 전문가들은 아기가 태어났을 때부터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부모가 책을 소리 내어 읽어줌으로써 자연스럽게 문해친화적 환경이 만들어지고, 이에따라 문해력의 뿌리가 자라게 된다. 또한 아이와 부모가 책을 통해 공통의 관심사를 갖게 되면서 어휘 습득이 늘어나고 자연스럽게 문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조선대학교 연구팀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생후 7개월 무렵부터 꾸준히 책을 읽어준 아이들이 생후 13개월이 됐을 때 단어 인식 정확도가 월등히 높았다. 즉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는 문해력의 기초를 닦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영유아기 책 읽어주기는 단어 인식과 사물 구분 능력, 문해력 발달에 큰 도움을 주며,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과 유대감도 증진시켜주는 효과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 엄마의 눈물
2.1. 당신을 사랑하는 엄마의 마음
엄마는 당신을 너무나도 사랑한 나머지 당신을 위해 기꺼이 모든 것을 포기하고 희생하였다. 엄마는 당신을 임신한 순간부터 당신을 지키고 돌보기 위해 온 몸과 마음을 바쳤다. 태중에서부터 ...
참고 자료
Zareva. A. 2009. Informational packaging, level of formality, and the use of circumstance adverbials in L1 and L2 student academic presentations. Journal of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8, 55-68.
나상영. 1985. “학업성적의 기대형성과 혼성 체육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명희, 김성훈, 박명숙, 이중권, 박종호, 이성림. 2006.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Ⅱ”. 한국교육문제연구. 17, 5-36.
박성미. 2011. “학습자 중심의 '강의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통권 제51호. 13-22.
배지혜. 2007. “발표수업을 활용한 수학 부진아 지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희선. 2006.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여대생 스피치 교육의 사례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6, 70-102.
김명화. 2005. “강의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 『아시아교육연구』 6권 3호, 1-24.
김성숙, 김학일. 2008. “학기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1권 1호, 55-78.
김수선. 2002. “대학 강의평가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강의평가도구의 양호도에 대한 실증적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춘호, 이정호. 2005.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9권 1호, 249-278.
서민원. 1995. “대학교육의 효과성 변인의 탐색(II): 대학교육 과정의 개념화와 측정.” 『고등교육연구』 7권 1호, 211-244.
서민원. 2008.“대학 수업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학연구』 46권 4호, 57-79.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생회. 2010. ‘2010 문과대학 대안평가’ 공개 발표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