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상상놀이의 개념 및 가치
아동의 상상놀이는 가장놀이, 가작화놀이, 극놀이, 환상놀이 등의 다양한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Frost와 Klein(1979)은 상상놀이를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표상화 하는 것으로 보는 측면에서 극놀이라고 불렀고, Saltz와 Johnson(1974)은 실제적 경험이 아니라 상상을 통하여 나타난 것이 상상놀이라고 보는 점에서는 환상놀이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Manning과 Sharp(1977)는 가작화놀이란 아동이 가장을 위하여 의상, 소품 등을 가지고 가장하는 놀이라고 정의하며 가장을 위하여 필요한 소품을 만들거나 그림을 그리면서 그것을 가지고 극화하는 것도 가작화놀이에 포함시키고 있다. Smilansky(1968)는 상징놀이가 극적 놀이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처럼 상상놀이에 대한 개념이 다양할지라도 상상놀이의 공통적인 특성은 첫째, 가작화의 요소 즉, '마치~처럼'('as~if')의 요소가 포함된다는 점이다. 둘째, 사회적 상황이 부적합하거나 놀이에 필요한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일상적 생활을 표현해야 할 경우 상상놀이가 나타난다. 셋째, 무생물을 생물로 취급할 경우 상상놀이가 나타난다. 넷째, 아동이 사물이나 행동을 다른 것으로 대체할 필요성을 느끼면 상상놀이를 하게 된다. 다섯째, 다른 사람이 했던 행동을 모방하는 것도 가작화의 요소로서 상상놀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상놀이란 가작화의 요소가 나타나고 상상놀이에 필요한 요소를 만들거나 그리는 것으로 가장(pretending)하는 것도 포함되며, 놀이의 계획, 발전, 유지를 위한 현실 지향적인 언어적 의사소통과 또래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놀이로 정의할 수 있다.
상상놀이의 가치는 아동의 인지발달과 정신 분석적 입장에서 보는 심리적 관점과 아동 개인발달 이외에 아동이 속한 사회와 문화를 포함한 문화적 관점의 이론으로 분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심리적 관점에서 아동의 상상놀이는 인지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아동 발달의 결과물로 보고 있다. 반면, 문화적 관점에서는 아동의 놀이를 인지적 수준에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아동의 정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함께 볼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아동의 놀이가 발달의 결과물이 아니라 발달의 주도적인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상놀이의 가치가 다양한 입장에서 해석될 수 있지만, 아동에게 미치는 중요한 가치는 일관되게 나타난다.
1.2. 상상놀이의 발달단계 및 특성
상상놀이의 발달단계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Piaget(1962)는 놀이의 발달단계를 기능놀이, 상징놀이, 규칙 있는 게임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상징놀이 단계는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2세~7세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발달된다고 보았다.
상징놀이의 발달과정을 Piaget는 탈맥락화, 자기-타인 변형화, 사물대치, 상징적 사회화 또는 집단적 변형화의 4가지 구성요소를 통해 설명하였다. 첫째, 탈맥락화는 어떤 행동이 상황이나 맥락이 변화된 상황에서 놀이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자기-타인 변형화는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포함하는 형태의 출현을 의미한다. 셋째, 사물대치는 유아가 어떤 사물을 다른 것으로 대치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 상징적 사회화 또는 집단적 변형화는 4세~7세 유아의 상징놀이에서 볼 수 있듯이 왜곡된 놀이다운 특성을 잃고 현실의 직접적 모방에 더 가깝다.
한편, Vygotsky(1978)는 발달적 관점에서 볼 때 놀이는 발달의 주도적인 활동형태라고 보았고, 정서적 관점에서 볼 때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행동경향이 발달상으로 처음 나타나는 시점에서 놀이가 시작된다고 보았다. 또한 놀이 자체의 발달에 있어서 유아기에는 현실적 상황과 상상적 상황이 분리되지 않는 가작화 놀이를 하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McCune(1986)은 상징놀이의 발달과정을 Piaget이론에 기초하여 전상징적 단계, 자기 가작화 단계, 분산된 가작화 단계, 가작화 놀이의 통합단계, 계획된 상징놀이 단계로 구분하였다. 지혜련(1992)은 Piaget의 가장 놀이의 발달단계를 자신의 행위를 가장하기, 다른 대상에 대하여 가장하기, 상상적으로 대체하기, 자기 자신의 행동으로 순서화를 가장하기, 대상물을 가지고 순서화를 가장하기, 이중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