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생아 괴사성 장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괴사성 장염
1.1.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1.4. 증상
1.5. 진단검사
1.6. 치료관리
1.7. 간호중재
2. 신생아 사례
2.1. 환아의 일반적 사항
2.2. 간호사정
2.3. 간호진단 및 계획
2.4. 간호수행 및 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괴사성 장염
1.1. 정의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신생아의 소장이나 대장에 생기는 괴사성 장염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생아 중증 질환의 하나로 장 점막의 괴사가 다양한 정도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하더라도 사망률이 20%에 이르는 무서운 질병이다.
1.2. 병태생리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주로 미숙아에게 발생하며, 그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1,500g 미만 신생아의 발생 빈도는 5% 내외로, 미숙아 자체가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그 외에도 고농도 우유, 저산소증, 너무 빠른 영양법, 적혈구 증가증, 감염증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장 점막의 손상, 이차적 세균 감염, 장의 괴사를 일으키는 데 작용한다""
병태생리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장의 허혈, 바게리아에 의한 균 집락화, 장점막 사이에 들어간 분유 등 3가지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벽에 있는 점액성 세포의 손상이 핵심적이다"" 저하된 혈류 공급으로 많은 장세포가 파괴되고, 장세포는 방어를 위한 윤활성 점액의 생성을 멈추게 된다"" 이로 인해 얇고 무방비상태의 장벽은 단백분해효소의 공격을 받아 계속 부어오르고 파괴된다"" 장벽의 파괴로 인해 방어적인 IgM을 생성할 수 없게 되고, 외독소가 장벽을 통과해서 장내 방어체계는 더욱 악화된다"" 또한 가스를 생성하는 박테리아가 손상된 부위를 침입하여 장의 점막하, 또는 장막하에 공기를 함유하는 장기종(pneumatosis intestinalis)을 유발한다""
1.3. 원인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미숙아의 경우 가장 큰 위험 요인이 된다. 1,500g 미만의 신생아에게 발생 빈도가 5% 내외로 높게 나타나며, 이는 미숙아 자체가 가장 큰 위험 요인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고농도의 우유, 저산소증, 너무 빠른 영양법, 적혈구 증가증, 감염증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장 점막의 손상, 이차적 세균 감염, 장의 괴사를 일으키는데 작용한다. 만삭아의 경우에는 심장 질환이나 저산소증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장 점막의 허혈, 세균 증식, 수유 등이 상호작용하여 생기는 혈관 손상의 결과로 장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관련 요인으로 출생 시 쇼크 혹은 심한 저산소증이 가장 크며, 분만 전후에 생길 수 있는 요인들로 인하여 장으로의 혈류가 감소하여 장 점막의 허혈을 가져오게 된다.""
1.4. 증상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초기에는 증상이 경미할 수 있어 소화불량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초기 주요 증상은 복부 팽만과 이전에 섭취한 우유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아기의 배가 불러 보이고, 잘 빨지 않으며, 축 늘어지면서 잠혈변(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혈변)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시작되며, 미숙아나 신생아의 경우 증상이 미약하여 잘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심해지면 무호흡증, 서맥, 저체온, 기면 상태, 신경과민, 담즙 섞인 구토, 피 섞인 구토, 복부 팽만, 혈변과 심한 설사, 위 팽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점점 더 심해질 수 있으며, 아기가 잘 먹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저혈압, 저체온, 창백, 호흡 곤란 등 패혈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복막염, 장 천공, 쇼크 및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1.5. 진단검사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병력, 증상, 진찰 등을 종합해서 진단할 수 있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으므로, 병을 의심하여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복부 X-ray 사진만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부 초음파 소견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단순 복부 촬영상 이상 소견이 보이며, 장벽 내 공기가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간문맥 내 공기가 보이거나 복강 내 공기가 보이면 장 천공을 의미하므로 이를 판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검사상 소견은 빈혈, 백혈구 감소증, 대사성 산증, 전해질 불균형 등을 보인다"" 심한 경우, 응고장애인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참고 자료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괴사성 장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99&CONT_SRC=CMS&CONT_ID=2743&CONT_CLS_CD=001020001008 (6/26)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괴사성 장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04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괴사성장염 [necrotizing enterocolitis, 新生兒壞死性腸炎]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11270&cid=40942&categoryId=32791
한국일보. 2017. “신생아 건강 관리(Postnatal care for infants)”, 12월 25일.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18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외 공저,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9
김영혜, 권봉숙, 김정미 외 공저,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8
박충선, 김미희, 김은영 외 공저, 『건강증진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 Ⅰ』, 퍼시픽북스, 2017
[네이버 지식백과] 신생아괴사성장염 [necrotizing enterocolitis, 新生兒壞死性腸炎]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11270&cid=40942&categoryId=32791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신생아 괴사성 장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
=09a4727a8000f299&CONT_SRC=CMS&CONT_ID=2743&CONT_CLS_CD=001020001008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신생아 괴사성 장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04
[네이버 지식백과] 청색증 [靑色症, methemoglobinemia] (물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95550&cid=60289&categoryId=60289
이정주, 김민희, 고경옥, 김경아, 김성미, 김은령, ... & 심재원. (2006). 한국 신생아의 재태 연령별 신체 계측치 연구. 대한신생아학회지, 13(1), 47-57.
[MSD 매뉴얼] 괴사성 전장염(NEC)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C%8B%A0%EC%83%9D%EC%95%84%EC%9D%98-%EC%9C%84%EC%9E%A5-gi-%EB%B0%8F-%EA%B0%84-%EB%AC%B8%EC%A0%9C/%EA%B4%B4%EC%82%AC%EC%84%B1-%EC%A0%84%EC%9E%A5%EC%97%BC-nec
최의경, 김혜림, 최정윤, 김수영, 정의석, 이주영, ... & 김병일. (2014). 전형적 괴사성 장염으로 발전 하지 않은 미숙아의 창자 벽 공기 3 례. Neonatal medicine, 21(3), 192-197.
김천수. (2011). 증례: 미숙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괴사 장염 2 예.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2(2), 136-140.
김영호, 서유진, 심규홍, & 최명재. (2011). 임상;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괴사성 장염과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되지 않은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비교.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22(4), 295-302.
강정운, 김원철, 박은희, & 최유덕. (1993). 증례: 신생아 괴사성장염의 1 예. PERINATOLOGY (구 대한주산의학회잡지), 4(2), 224-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