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평생교육기관과 프로그램 개발
1.1. 평생교육기관의 정의와 특성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법에 따르면 평생교육은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 보완교육, 성인 기초 및 문자 해득 교육, 직업능력 향상 교육, 인문 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 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기관은 평생교육법에 따라 인가, 등록, 신고된 시설, 법인 또는 단체, 학교교과 교습학원을 제외한 평생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학원, 그 외 다른 법령에 따라서 평생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설, 법인 또는 단체라고 정의하고 있다.
평생교육기관은 거시적 관점 또는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에 따라서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기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지만 평생교육기관 정의는 학자에 따라서 평생교육의 개념에서 접근하기도 하며 사전적인 접근 방법, 법률적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등 다양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거시적 차원에서의 정의는 가치판단으로 사회적 존재로 교육적 가치가 강조되고 미시적 차원의 정의에서는 전통적 교육 중심의 개념, 마케팅 중심의 개념, 관계 중심적 개념으로 분류되어 정의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기관은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데 이는 설립 취지부터 기관 규모, 프로그램의 실시 주체, 조직의 체계성, 교육적 전문성, 영리성 추구 유무, 재정적 안정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서 유형화 되고 있다.
1.2.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1.2.1. Boyle의 모형
Boyle의 모형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주체, 프로그램 용도, 개발목적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첫째, 개발주체에 따른 분류는 내용중심, 학습자중심, 문제중심 프로그램으로 구분한다. 내용중심 프로그램은 특정 내용의 습득과 전달이 목적이며, 직업훈련이나 컴퓨터 교육이 이에 해당한다. 학습자중심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에 초점을 두며, 장인교육이나 예술교육 등이 포함된다. 문제중심 프로그램은 퇴직교육, 부모교육과 같이 학습자가 겪는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다.
둘째, 프로그램 용도에 따른 분류는 직업교육, 문해교육, 지역사회교육으로 구분한다. 직업교육은 주로 기업 관련 교육으로 개인과 조직의 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문해교육은 성인학습자의 기초적인 언어습득과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이며, 뉴만과 프레이리의 모델이 대표적이다. 지역사회교육은 지역주민의 요구에 기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