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다문화사회에서 간호사의 역할
1.1. 다문화사회의 정의 및 현황
다문화사회란 한 국가나 한 사회 속에 다른 인종, 민족, 계급 등 여러 집단이 지닌 문화가 함께 존재하는 사회이다. 우리나라는 세계화에 따라 다문화 현상이 나타났지만 주로 결혼을 하지 못한 남성들의 국제결혼을 시작으로 다문화가정이 늘어나게 되었다. 1970년대부터 농촌사회의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그로 인해 농촌 지역의 남성들이 결혼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처음에는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국제결혼을 하기 위해 이주를 해왔고 다음으로는 필리핀, 베트남과 같은 동남아시아 여성들이 결혼 중개업체를 통해 많이 이주해오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공부와 사업을 위해 외국인 거주자 및 이민자들이 늘어났다. 주변에 외국인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우리나라 사람들과 결혼을 하는 외국인이 늘어났고, 국제결혼이 다문화가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사람의 인건비가 올라가고 사람들이 3D직종을 기피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 인력을 구하기가 쉽지 않아졌다. 대신 네팔,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많은 동남아시아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건너와 외국인 노동자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7년에 다문화가정의 구성원 수가 100만명을 넘어섰고, 최근 3~4년 동안 외국인과 결혼하는 수가 전체 결혼자의 10%를 넘고 있다. 또한 매년 3만명 이상의 동남아시아 여성들이 한국인과 결혼하면서 다문화 가정은 해마다 늘고 있다.
1.2. 다문화 간호의 필요성
최근 10여 년간 우리사회는 국제결혼,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의 원인에 의해 외국인 유입이 지속되어 국내 거주 외국인이 100만명이 넘어가게 되었다. 2015년 국내 거주 외국인은 174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50년이 되면 9.2%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 사회 배경을 가진 의료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의료기에서는 국제진료센터를 운하고 외국인 환자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등 외국인 환자 응대서비스를 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간호사는 외국인 환자의 의료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있어 요한 문 의료 인력으로 간호수행, 진료 지원, 교육 상담 등의 포인 역할을 수행해야하며, 이를 해 의사소통 기술, 신뢰관계 형성 기술, 다양한 문화에 한 지식과 문화 배경과 차이에 한 이해 등의 국제간호역량이 요구된다.
1.3. 간호사의 경험 및 사례
1.3.1. 통하지 않는 언어
간호사들이 외국인 환자를 간호하면서 처음으로 마주하는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었다. 간호사들은 언어적 장벽으로 인해 환자에게 처음 다가가는 것이 힘들고 부담스러워했으며 이로 인해 '처음부터 딱 막히는' 관계 시작의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는 입원 기간 동안 환자와 의사소통을 해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수행하던 간호에 대한 자신감도 없어지는 경험을 했다고 하였다. 특히나 언어의 장벽이 주는 부담감은 2인실이라는 공간에서 더욱 크게 느끼기도 했는데, 외국인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하면서 옆 침대의 환자뿐만 아니라 다른 보호자의 눈치도 봐야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때때로 외국인 환자뿐만 아니라 같은 병싱의 한국인 환자한테까지 자신감이 저하되게 했다.
1.3.2. 다른 옷차림
간호사들은 외국인 환자의 옷차림에서 또 다른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였다. 히잡이나 터번을 쓴 외국인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