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아동센터 세부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복지 및 지역아동센터
1.1. 서론
1.2. 본론
1.2.1. 아동복지시설의 유형 및 세부정보
1.2.2.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세부 사항
1.3. 결론
1.4. 참고문헌
2. 실습 종결보고서
2.1. 실습기관 소개
2.2. 실습기간 및 시간
2.3. 실습목표
2.4. 실습내용 소개
2.5. 실습목표와 달성 정도
2.6. 실습지도자와 실습지도 내용소개
2.7. 실습소감
2.8. 향후 실습을 위한 제언
2.9. 기타
2.10. 실습지도자와 기관에 대한 감사의 내용
3. 사회복지 현장실습일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복지 및 지역아동센터
1.1. 서론
아동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견인할 중요한 인적자원이기 때문에 거시 사회는 아동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을 통해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고, 그들이 건강한 상태로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영유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아동복지의 중요성은 매우 높기에 아동복지는 사회에서 기능하는 사회복지 시스템 중에서도 그 인프라가 매우 촘촘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사회복지 인력은 클라이언트가 아동일 경우를 대비하여 아동복지에 관련된 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나는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역량에 필요한 이론과 실천기술들을 지난 '아동복지정책' 교과과정을 통해 학습한 바 있고 그중에서도 한국에 존재하는 아동복지시설과 지역아동센터에 깊은 인상을 받은 바 있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아동복지시설에 관련된 유형과 세부 사항을 알아보고, 지역아동센터에 대해 더욱 자세히 기술해보도록 하겠다.
1.2. 본론
1.2.1. 아동복지시설의 유형 및 세부정보
아동복지법 제52조에 근거하여 분류한 아동복지시설의 종류는 총 12가지로 구분된다. 이는 '아동양육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공동생활가정(그룹홈)', '자립지원시설', '아동상담소', '아동전용시설', '지역아동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가정위탁지원센터', '아동권리보장원', '자립지원전담기관'으로 구분된다.
(1)'아동양육시설' : 아동복지 차원에서 보호되어야 하는 아동들을 해당 시설에 입소시켜 양육, 보호, 자립지원, 취업훈련 등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 시설이다.
(2) '아동일시보호시설' :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일시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아동일시보호시설'은 향후 해당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와 양육대책수립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게 시간을 확보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축소하는 목적을 가진 시설이다.
(3) '아동보호치료시설' : 아동복지의 대상이 되는 아동 중 일부는 보호조치와 함께 치료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동보호치료시설'은 이러한 아동들에게 적합한 치료 및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아동학대 피해자, 선도가 필요한 아동 등을 주요한 대상으로 하고 있다.
(4) '공동생활가정(그룹홈)' : 아동복지 대상자들에게 자립지원, 양육, 보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며 이는 보편적인 가정집과 같은 주거여건을 가지고 있다.
(5) '자립지원시설' : 연령이나 조건이 벗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하게 된 사회구성원들에게 취업을 준비하는 기간과 취업 후에도 일정 기간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이를 통해 복지 대상자의 자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6) '아동상담소' : 클라이언트인 아동과 그의 가족들이 보유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7) '아동전용시설' : 아동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영향을 미치는 놀이터, 공원, 오락 등의 기능을 가지고 아동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아동시설이다.
(8) '아동보호전문기관' :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신체적, 심리적 피해를 입은 아동을 보호하고, 해당 가정에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 시설이며 여기에는 아동학대 가해자에 대한 치료, 상담, 교육서비스가 포함된다.
(9) '가정위탁지원센터' : 가정위탁지원센터에서는 아동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위탁가정을 발굴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해당 가정에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복지 시설이다.
(10) '아동권...
참고 자료
참여연대,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황클의 이야기>,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1621328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129&cntntsId=1105
두드림,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https://www.ddc.go.kr/ddc/contents.do?key=445
보건복지부, 2019,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안내>
임정기, 박현선, 정익중, 2015, <지역아동센터 운영자의 인식을 통해 본 지역아동센터의 기능과 역할>,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7, No. 2, pp. 28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