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본주의이론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2.1. 인본주의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사례
2.2. 인본주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
2.2.1. 사람에 초점 맞추기
2.2.2. 강점 강조
2.2.3. 지원 환경
2.2.4. 전체론적 접근법
2.2.5. 공감과 이해
3. 인본주의 이론의 사회복지실천 적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구의 인본주의 이론가는 로저스와 매슬로우다. 매슬로우는 원래 심리학자들 중 행동주의 이론가로 활동하였으나, 관찰 가능한 행동과 영향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는 행동주의의 관점에 반대하였다. 인본주의이론에서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는데 인간이 자신과 세계에 어떻게 지각하는가를 보면 인간의 본질에 대해 잘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인본주의 이론을 현상학적 이론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인본주의 이론이 개인에게 현상이 나타나는 방식과 개인이 그 현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는지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인간은 원래 다양한 주관적 경험을 통한 자신을 형성하고 특정한 성격 유형을 형성해 가는 것으로 본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고정된 성격발달 패턴은 없으며 그보다는 삶의 경험에 따라 각 개인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인본주의 이론에서는 성격발달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한 개인의 성격독특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인본주의 이론은 인간 발달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접근을 하는데 자기 이해를 통한 자신의 잠재능력을 실현해 나가는 긍정적인 존재이며 자신의 행동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의지를 가졌다고 간주하는 이론으로 로저스는 인간은 이러한 자기실현의 경향성을 토대로 계속 성장해 가는 존재라고 하였다.
2.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2.1. 인본주의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사례
인본주의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사례를 찾아 제시하면, 노숙자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맥락에 있다"이다.
노숙은 빈곤, 실업, 정신 질환, 약물 남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복잡한 사회적 문제이다. 노숙자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종종 음식, 피난처 및 건강 관리와 같은 기본적인 필요에 접근하기가 어렵게 만드는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인본주의적인 관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 복지사는 다음과 같은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이종복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현사, 2007
이인정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2011
이은태, “사회복지 상담의 사주명리학적 적용가능성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 2019
윤찬영, “사회복지의 이해”, 학현사, 2007
박준석, “가상인간 목표 설정을 위한 동기결정 기법”, 동국대, 2009
유정민, “로저스 인본주의 교육론의 실천적 의미”, 경인교대, 2014
정미숙, “아유르베다와 인본주의 심리학 비교”, 창원대, 2003
Hong, S. M. (2003). 사회복지 실천이론의 실체와 의미.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40.
홍선미. (2004).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4), 195-214.
봄 상담코칭 연구소
네이버 포스트- 마음건강 길
Hepworth, Rooney & Larsen, 허남순 외 역,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