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예능 기획안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예능 기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알쓸신잡 프로그램 분석
2.1. 프로그램 개요
2.2. 기획 의도
2.3. 시즌별 특이성

3. 방송 프로그램 기획과정 비교
3.1. 드라마 기획과정
3.2. 다큐멘터리 기획과정
3.3. 예능·오락 기획과정

4. 드라마 기획안 사례 분석
4.1. JTBC 드라마 '스카이캐슬' 기획안
4.2. KBS2 드라마 '태양의 후예' 기획안
4.3. 두 드라마 기획안 비교

5. 예능 프로그램 기획 사례
5.1. 선호하는 예능 장르: 토크쇼
5.2. 토크쇼 프로그램의 중요성
5.3. 본인이 기획해보는 토크쇼 프로그램
5.4. 기획 프로그램의 가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구) 방송위원회는 1993년 '프로그램 유형 분류 기준'을 만들었다. 크게 보도, 교양, 오락 세 가지 부문에 해당하며 구체적인 프로그램 유형을 정리하여 분류하였다. 보도부문에는 뉴스, 뉴스 해설, 기획 보도, 기자회견, 뉴스매거진, 시사적 사건의 특별행사 중계, 시사 다큐멘터리, 기상정보가 있고, 교양 부문에는 다큐멘터리, 대담/토크, 교육을 주목적으로 하는 만화/인형극, 교육을 주목적으로 하는 퀴즈/게임, 학습 프로그램, 생활 정보,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있다. 마지막으로 오락부문에는 드라마, 코미디, 영화, 만화, 버라이어티쇼, 오락성 토크쇼, 퀴즈/게임, 스포츠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있어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내포한다. 첫째, 여타 부문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조직체로서 방송사가 자기 조직의 경영을 위해 마련하는 전략적 목표이자 설계로서의 기획. 두 번째, 콘텐츠 및 프로그램 제작과 관련하여 제작의 목표와 방향, 방법 등을 고민하는 단계로서의 기획이다.


2. 알쓸신잡 프로그램 분석
2.1. 프로그램 개요

'알쓸신잡'은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의 약자로, 전 국민적인 인기를 끌며 케이블TV 역사상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예능 프로그램이다. 분야를 넘나드는 다양한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지식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일반 시청자들에게 교양과 지적 재미를 선사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역사, 문학, 과학, 경제, 미식 등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관련 지식을 깊이 있게 다룸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정보와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 여행을 통해 지역 문화와 풍광을 소개하는 여행 버라이어티 요소도 가미되어 있어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처럼 알쓸신잡은 전통적인 예능 프로그램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혁신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2.2. 기획 의도

알쓸신잡은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이라는 기획 의도를 가지고 있다. 역사, 문학, 과학 등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다를 나누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기획자들은 "알쓸신잡은 기획이 없어야 성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장에서 연출이건 기획이건 안하는 게 원칙이었다. 어디서 시작하고 끝나는지도 모르게 하는 거였다. 재미가 없거나 방송에 적합하지 않는 내용이라도 놔두자, 편집에서 처리하면 된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하며, 기존 예능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기획 방식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자유롭게 진행되도록 했다고 한다. 또한 "재미를 만드는 게 예능인데, 반드시 재미가 웃음이라고는 생각 안 했다. 눈과 귀가 즐거운 예능이 있다면 우리 프로그램은 뇌가 즐거워지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해서 기획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알쓸신잡은 기존 예능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지적 호기심과 재미를 겸비한 새로운 장르의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했다.


2.3. 시즌별 특이성

알쓸신잡 프로그램의 시즌별 특이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시즌에서는 '정치·경제 X 미식 X 문학 X 뇌 과학'을 주제로 국내 여행을 다루었다. 통영, 순천, 강릉, 경주, 경주, 공주·부여·세종, 춘천, 전주, 홍대거리 등을 방문하며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해당 지역의...


참고 자료

이서라 (2020), 「텔레비전 예능프로그램의 다성성(Polyphony) 연구: tvN〈알쓸신잡〉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57), 9-43.
이기형, 채지연, 김지수, 유하빈, 이단비, 신정원, 오희숙, 현희진, 이남경, 이설아 (2020). 「텔레비전이 제공하는 ‘인문 예능’의 특징과 명암 : <알쓸신잡>에 관한 중층적인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02, 103-159.
김관섭, 「문화버라이어티 캐릭터 스토리텔링의 양상- 글로벌 문화자원 방송소재 MBC ‘선을 넘는 녀석들’과 tvN ‘알쓸신잡 3’ 비교분석」, 건국대학교
한미소, 윤태진 (2017), 「대중문화는 전문가-셀러브리티를 어떻게 구성하고 활용하는가」, 한국방송학보,31(5), 189-228
방문영 (2019), 「예능 프로그램의 인문학 재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tvN <알아두면 쓸데없는신비한 잡학사전> 시즌1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2019 봄철 정기학술대회 , pp.18-21
[방송기획제작의 기초] 저자 설진아, 전규찬
이영돈, <영상 콘텐츠 제작 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