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담관염(Cholangitis)
1.1. 정의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소화액)을 장으로 흘려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수많은 담관으로 이루어진 담도는 간 안에 퍼져있는 작은 담관(간내담관)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굵은 담관으로 합류하여 간 밖으로 나와 총담관을 형성하고 마지막에 유두부를 통해서 십이지장까지 도달하게 된다. 담관염은 이러한 담관의 염증 상태를 말한다.
1.2. 원인
1.2.1. 담관 폐쇄 원인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이다.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관의 결석은 대부분 담낭의 담석으로부터 기원하며, 간흡충, 회충에 의한 감염이 있거나 선천적인 담도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담관의 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악성 종양으로는 췌장암, 담도암, 십이지장의 유두부암, 그리고 전이성암 등이 있다.
담관의 폐쇄를 일으키거나 담관에 염증을 유발하는 기생충에는 간디스토마, 간흡충이 있고 드물게 회충이 장에서 담관으로 기어들어가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1.3. 증상 및 징후
담관염의 주요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담관염 환자는 극심한 복통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는 주로 우상복부에서 나타난다. 이는 담도산통(biliary colic)이라고 부르는데, 담관의 염증으로 인한 것이다. 오심, 구토, 소화불량과 같은 위장관계 증상과 함께 대부분 담도의 염증으로 인한 오한과 고열을 나타내며, 황달이 동반되는 것이 담관염의 특징적 증상이다. 지방 음식의 불내성과 비타민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 특히 비타민 K의 결핍은 혈액 응고를 지연시킨다. 담관염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 외에 의식장애와 혈압 저하와 같은 패혈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적인 담관의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체중감소, 피로감, 우상복부 통증, 소양감, 일시적인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과 검사
1.4.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담관염 진단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담관염 환자의 혈액검사에서는 세균감염으로 인한 염증반응과 담즙 정체로 인한 간기능 검사 수치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세균감염에 의한 염증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백혈구 수치와 C-반응 단백질(CRP) 검사를 시행한다. 담관염 환자의 경우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고, CRP 수치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CRP는 감염 초기부터 빠르게 증가하므로 담관염 진단에 유용한 지표이다.
둘째, 담즙 정체로 인한 간기능 검사 수치의 변화를 확인한다. 대표적인 검사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γ-GTP), 총빌리루빈(T.Bil) 수치를 확인한다. 담관염이 있는 경우 이들 수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담즙 배출 장애로 인해 간에서 생산된 담즙 성분들이 혈액 내에 쌓이기 때문이다. 특히 γ-GTP는 담도계 폐쇄를 진단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된다.
이처럼 혈액검사를 통해 담관염의 원인과 염증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방침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담관염 진단 시 필수적인 검사 항목이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