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헌정사에 대한 법학적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한민국 헌정사에 대한 법학적 평가
2.1. 제헌헌법에 대한 평가
2.2. 제1차 - 제2차 헌법개정에 대한 평가
2.3. 제3차 - 제4차 헌법개정에 대한 평가
2.4. 제5차 - 제7차 헌법개정에 대한 평가
2.5. 제8차 - 현행 헌법에 대한 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단기간에 압축적인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로 평가받는다. 이것은 매우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못지 않게 자랑스러워할 만한 것이 또 있다. 바로 우리나라가 성공적으로 민주화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제국주의 시대에 열강으로부터 식민 지배를 받았던 나라들 가운데 우리나라처럼 경제 성장과 민주화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나라는 찾아보기 어렵다. 과거 식민 지배를 받았던 많은 나라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군사 독재, 내전으로 인해 신음하고 있다. 이에 반해서 우리나라는 1987년의 6월 항쟁 이후로 민주화에 성공했으며, 그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것은 경제성장 못지 않게, 오히려 그보다 더 자랑스러워 할 만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도 과거에는 군부 독재의 어두운 시간을 보냈으며, 그 시기에 헌법은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헌법은 정권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으며, 국민의 자유와 권리가 처참하게 무시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아래에서는 우리나라의 헌정사 가운데에서도 특히 법학적인 관점에서 지적할 만한 몇 가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2. 대한민국 헌정사에 대한 법학적 평가
2.1. 제헌헌법에 대한 평가
제헌헌법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처음으로 제정된 헌법이기 때문이다. 즉, '최초'라는 점에서 법학적인 가치가 있는 헌법이다. 이 헌법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으며 국회의장 이승만이 서명, 공포하여 시행되었다는 점에서는 나름대로 합법적인 절차를 거쳤지만, 국민투표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론상 헌법 제정권력을 가지는 국민들이 동의한 내용은 아니라는 점에서 민주적인 정당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헌 헌법을 의결한 제헌 국회는 남한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민족주의 세력과 좌파 세력이 5.10 총선거를 보이콧 한 상황에서 구성되었기 때문에 민주적인 정당성에 있어서 '반쪽짜리 국회'라는 평가를 받았고, 이때문에 이 제헌 국회가 제헌헌법을 심의하고 의결했다는 점에서도 민주적인 정당성이 결여된 헌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2.2. 제1차 - 제2차 헌법개정에 대한 평가
제1차 - 제2차 헌법개정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면, 1950년 정부...
참고 자료
대한민국 헌법
기초학문자료센터, 연구과제상세정보, 한국 근현대헌정사 연구: 근대국가 형성과 민주 헌정(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2388&res=y)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헌법이 걸어온 길
(https://www.much.go.kr/L/Jek85C4Kn5.do)
서울대학교, 정종섭, 2020. <한국 근현대헌정사 연구:근대국가 형성과 민주 헌정>
동아일보, 민동용, 2020.7.2. 한국 헌정사, 대통령 권력 독주에 대한 견제의 역사
교안 – 헌법1 우리나라 헌정사
대한민국 헌법
헌법 조문정리(2020) 10판, 김유향 저, 윌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