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폐색성 후두염 크룹"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필요성
1.2. 대상 및 방법
2. 아동의 건강력
2.1. 신분에 대한 정보
2.2. 주호소
2.3. 현병력
2.4. 과거력
2.5. 예방접종
2.6. 건강과 관련된 정보
2.7. 가족병력
3. 질병기술
3.1. 정의
3.2. 원인
3.3. 병태생리
3.4. 임상증상
3.5. 진단
3.6. 치료
3.7. 간호
4. 자료수집
4.1. Physical Data
4.2. Emotional Data
4.3. Socioeconomic Data
4.4. Laboratory Data
4.5. Proceeding Data
5. 간호과정
6. 약물
7. 특수치료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필요성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의 발생 빈도와 원인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크룹은 1~3세의 유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후두 점막 감염으로 인해 후두와 기관의 부종 및 기도 폐쇄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크룹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parainfluenza virus이며,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성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크룹의 발병률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고, 겨울철에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렇듯 매우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아동간호 실무에서 크룹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대상 및 방법
'1.2. 대상 및 방법'은 본 레포트의 대상자와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29개월 된 남아 정○○으로, 2019년 6월 2일부터 6월 5일까지 ○○아동병원에 입원한 환아이다. 정○○ 환아는 5월 31일부터 시작된 컹컹거리는 기침, 발열, 구토 증상으로 인해 처음 집 근처 병원에서 치료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였고, 탈수와 소변량 감소로 인해 ○○아동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자료 수집은 환아의 입원기록, 보호자와의 면담, 신체검진, 검사결과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입원 당시부터 퇴원 시까지의 경과를 관찰하고 기록하였으며,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환아의 건강력, 발달 상태, 가정환경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활력징후 측정, 신체검진, 혈액 및 영상 검사 결과 등 다양한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아의 건강 상태와 간호요구도를 사정하고, 이에 맞는 간호중재를 계획 및 수행하였다.
2. 아동의 건강력
2.1. 신분에 대한 정보
환아의 신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환아의 이름은 정○○이고, 성별은 남자, 연령은 29개월(2세 5개월)이다. 환아는 2남 중 첫째로, 정보제공자는 환아의 어머니이다. 환아는 현재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으며, 출생 시 체중은 3.14kg으로 정상이었다. 환아의 진단명은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이며, 입원일은 2019년 6월 2일, 퇴원일은 2019년 6월 5일이다.""
2.2. 주호소
주호소는 "열, 구토"이다. 입원당시 2일 전부터 시작된 열과 구토를 주로 호소하였다. 열은 38.3도로 측정되었고, 구토는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발열과 구토로 인해 탈수 증상이 나타나 수액 투여가 필요한 상태였다.
2.3. 현병력
환아는 2019년 5월 31일부터 컹컹거리는 기침을 시작하였고, 6월 1일에 집 근처 병원에서 치료받았으나 물만 먹어도 구토를 너무 많이 하여 □□대학교 병원으로 가서 수액 맞았고, ○○아동병원으로 왔을 때 탈수와 소변량 감소한 상태였다고 한다""환아는 2019년 5월 31일부터 발병하여 6월 1일에는 집 근처 병원에서 치료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수액치료를 받기 위해 □□대학교 병원을 방문하였고, 이후 ○○아동병원으로 전원되었다. 환아는 탈수와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2.4. 과거력
분만형태는 NSVD이며, 임신기간이 Full term으로 정상적인 출산이었다"" 출생시 체중은 3.14kg으로 정상 범위에 속한다"". 과거 병력으로는 2018년 6월 30일 돌발진, 2018년 폐렴, 후두염의 병력이 있었다"". 입원력도 2018년 폐렴으로 입원한 적이 있었다"". 수술력은 없었다"".
2.5. 예방접종
환아의 예방접종은 잘 시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출생 후부터 BCG, DPT, TOPV, 홍역, 볼거리, 풍진, 간염, 뇌염 등 기본 예방접종을 모두 완료하였다고 한다. 이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중요한 조치로, 면역력을 높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소아 환자의 경우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철저한 예방접종이 필수적이다. 환아의 예방접종력을 확인하여 계획에 따라 예방접종이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6. 건강과 관련된 정보
환아의 알레르기, 배설상태, 수면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알레르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변 상태는 빈도가 4~5회/일로 정상이며, 색깔도 yellow, 양도 정상, 냄새도 정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변 상태 역시 1일 1회 갈색으로 정상적인 양상을 보였다.
수면 상태는 하루 평균 12시간 정도 잠을 자며, 밤 8시부터 오전 7시까지와 낮 2시간 정도 잠을 청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면 장애는 없었다. 애착인형을 옆에 두고 잠을 청하는 습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편안하게 잠을 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환아는 알레르기나 배설, 수면 문제가 없어 기본적인 건강 상태가 양호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2.7. 가족병력
가족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환아의 가족력을 살펴보면, 외조모가 고혈압 병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선천적 기형이나 특이한 가족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아 가족은 전반적으로 건강한 편이며, 환아의 질병과 관련된 유전적 요인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외조모의 고혈압 병력은 향후 환아의 건강관리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환아 가족은 경제적 상태가 중상 수준이며, 부모 모두 대졸의 학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환아의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3. 질병기술
3.1. 정의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은 1~3세의 유...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Ⅱ(개정3판). 서울: 현문사 - 조결자, 송지호, 유일영, 박인숙, 박은숙, 김미원, 김희순, 신희선 외(2005).
원리와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 송지호, 조결자, 박은숙, 박인숙, 김미원, 박호란, 신희선 외(2009).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서울: 군자출판사 - 김미예 외(2008).
아동건강간호학➋. 서울: 군자출판사 - 김희숙, 강경아, 김순애, 김신정, 김현실, 김현옥, 문선영, 양은영, 이명숙, 정혜경(2008).
아동간호학 - [정담미디어]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현문사 - 김영혜, 권봉숙, 남혜경, 안민순, 양영옥, 오상은, 이영은, 이지원, 정향미, 조인숙 외(2012).
아동의 성장발달과 간호. 서울: 군자출판사 - 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김수옥, 김태임, 오원옥, 윤희옥, 이수연, 정승은, 조갑출(2007).
인간성장발달과 건강증진. 서울: 수문사 - 김영혜(2006).
기본간호 수기. 서울: 현문사 – 유해영(2009).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크룹(Croup)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중앙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크룹 [croup]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아동간호학] 호흡기질환 – croup (정담미디어)
http://www.huff-n-puff.net/posturaldrainage.htm
KIMS 의약정보
최순희 외. (2013). 『간호과정 제3판』. 현문사.
박충선 외. (2017). 『아동건강간호학II』. Pacific Books. p.393~398.
박은숙, 박인숙 외(2016). 근거기반 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김영혜, 권봉숙 외(2012).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하영수, 이자형 외(2010). 아동건강간호학, 서울 : 신광출판사
원종순, 김남초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김미예, 권인수 외(2008).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군자출판사
Herdman, Kamitsuru (2018). NANDA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정옥분(2018).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