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의 교육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
1.1. 감각운동기(0~2세)
1.2. 전 조작기(2~7세)
1.3. 구체적 조작기(7~11세)
1.4. 형식적 조작기(11세 이상)
2. 교육적 시사점
2.1. 각 단계마다의 교육방법
2.2. 활동 중심 교육
2.3. 피드백 제공
2.4. 실험활동 유도
2.5. 자율성 부여
3. 인지발달단계이론의 비판적 검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
1.1. 감각운동기(0~2세)
감각운동기(0~2세)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중 첫 단계이다. 이 시기의 아동은 주변 세상과 자신을 구별할 수 없으며, 주된 인지활동은 반사행동이다. 아동은 이 시기에 생각 없이 행동만을 수행하며, 대상 영속성을 생후 7~8개월경에 획득하게 된다. 대상 영속성이란 직접 모든 물체를 보거나 만질 수 없을 때에도 그것이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모든 사물이 자신과 별개의 실체라는 것을 알고 표현 능력을 얻는 것이 바로 대상 영속성이다.
감각운동기에는 감각적 경험과 운동 활동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게 된다. 아동은 자신의 감각기관을 통해 주변 세계를 탐색하며, 행동을 통해 환경을 변화시킨다. 초기에는 단순한 반사행동만 나타나지만, 점차 감각과 운동이 통합된 행동을 보이며, 점점 복잡한 행동 유형을 나타내게 된다. 아동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이 외부환경과는 별개의 존재라는 것을 점차 인식하게 된다.
특히 감각운동기 말기에는 대상 영속성의 획득이 중요한 발달 특징으로 나타난다. 생후 4개월까지 아동은 감각과 운동에 의존하여 세계를 인식하기 때문에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지면 그것을 더 이상 찾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생후 9~10개월이 되면 보이지 않는 물체에 대해서도 여전히 그것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는 아동이 대상 영속성을 획득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감각운동기의 아동은 주변 세계를 감각과 운동을 통해 이해하며, 점차 자신과 환경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특히 대상 영속성의 획득은 이 시기 아동의 중요한 인지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전 조작기(2~7세)
전 조작기(2~7세)는 아동이 기호와 내부 이미지를 사용하여 사고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이 시기 동안 아동은 외계의 현상을 표현하고 구조화함으로써 사고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전 조작기 아동의 사고는 체계적이지 않고 비논리적이기 때문에 이 단계를 전 조작기라고 부른다""
전 조작기는 전 개념적 사고 단계(2~4세)와 직관적 사고 단계(5~7세)로 나뉜다"" 전 개념적 사고 단계에서 아동은 사물을 분류하거나 서열화하는 등 논리적 조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직관적 사고 단계에서는 조작적 사고가 어느 정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로 이행하는 중요한 전환기에 해당한다""
전 조작...
참고 자료
피아제 발달이론의 논리적 정당화와 교육적 함의 - 은은숙, 2011
신명희,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0
조화태, 「인간과 교육」, 방송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이효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2
이진명,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디자인교구 개발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하소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에 기초한 유아 음악수업지도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강용석, 「피아제의 인지적 구성주의와 아동 교육」, 교육과정연구, 2005
김영수, 「피아제의 감각운동기 이론」, 교육과학연구, 2006
저자 조화태 김계현 전용호 (2012) 인간과 교육 / 방통대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