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구설계(연구주제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적합한 연구방법과 측정변인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이해
1.1. 연구주제 및 연구문제
1.2. 연구설계
1.3. 자료수집방법
2. 질문지 작성
2.1. 질문지의 개념과 작성절차
2.2. 문항배열 시 고려사항
2.3. 가치중립성
3. 자료수집방법 비교
3.1. 면접조사
3.2. 전화조사
3.3. 전자조사
4. 질문지 작성 예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이해
1.1. 연구주제 및 연구문제
연구주제 및 연구문제는 연구의 전체 맥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연구주제는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로, 연구를 통해 알아내고자 하는 내용이다. 연구주제를 선정할 때는 기존 연구를 충분히 검토하여 연구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연구문제는 연구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의문사항으로, 연구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핵심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연구주제와 연구문제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연구주제를 잘 선정했다면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도출할 수 있다. 연구문제는 가설의 형태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의문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가설은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전제로 하며, 이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과 흐름을 잡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불화가 생기는 요인과 가정불화를 낮추는 방법, 가정불화 수준 감소 시 가정생활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요즘 가정불화와 가정폭력 등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볼 수 있다. 가정의 안정은 개인과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연구주제와 연구문제의 탐색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설계
연구 설계는 연구주제를 선정한 후 그 연구 전반적인 연구수행에 대한 계획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 설계를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계획해야 한다""
연구 설계 유형은 크게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뉠 수 있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연구 방법 자체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심해서 결정해야 한다"" 특히, 내가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가 양적으로 더 잘 나타낼 수 있는지 아니면 질적으로 하는 것이 연구에 더 타당성이 있는지 등 세세하게 알아보며 연구 설계 방법을 구안해야 한다""
연구 설계를 위한 준비 방법은 관심 분야의 선행연구를 찾아보고 그 내용을 먼저 숙지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 연구한 방법과 내가 이 연구를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할 것 같다는 생각 등 다양한 고찰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설계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 윤리는 사람들이 연구를 위하여 어떤 방법까지 수용이 되는가를 정해 놓은 것이다"" 특히, 사람을 상대로 연구하는 것은 연구 윤리가 꼭 필요한 부분이다"" 사람의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 등 사람 전반의 특성을 가지고 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하고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1.3. 자료수집방법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절차로, 조사연구, 실험 연구, 관찰 연구, 내용분석 등이 대표적이다.
조사연구는 선행연구 문헌을 찾아보며 연구 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연구 주제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며 연구 문제를 구체화할 수 있다. 선행연구 분석은 연구 전 과정에서 계속되는데, 이는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해석 등에 활용된다.
실험 연구는 특정 변수들을 조작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연구 방법이다. 실험 연구를 통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있으며, 통제된...
참고 자료
이기봉(2012). 체육교사와 스포츠지도자를 위한 체육측정평가 레인보우북스
강의안: ‘제3장 질문지 작성방법’, 전광희 교수(충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016.12.9.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6/chungnam/jungwanghui/4.pdf
생명과학 연구윤리 서재 BICstudy, CM Tooltip Glossary Pro, 키워드 검색 ‘대표성’
https://bicstudy.org/glossary/%EB%8C%80%ED%91%9C%EC%84%B1/
네이버 국어사전 키워드 검색(고려대한국어대사전) ‘가치중립성’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c0e8f8096b043c8a00fdea2ce82b771
배규한, 이기채(2017). 통계조사방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정성호(2016). 실전 사회조사방법. 시간의물레.
이숙정, 백선기, 한은경(2013). 교육수준에 따른 정치참여 격차.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보 제57권 5호 113~136(25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