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폴레옹 업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나폴레옹의 생애와 업적
1.1. 유년기와 청년기
1.2. 나폴레옹의 등장과 공화정기
1.3. 나폴레옹의 제1제정기
1.4. 나폴레옹의 몰락과 유배
1.5. 나폴레옹에 대한 평가
2. 나폴레옹, 맥아더, 니미츠의 리더십 비교
2.1. 나폴레옹의 리더십 특징과 성과
2.2. 맥아더의 리더십 특징과 성과
2.3. 니미츠의 리더십 특징과 성과
3. 백년전쟁과 프랑스혁명
3.1. 백년전쟁의 전개 과정
3.2. 백년전쟁의 의의 및 성격
3.3. 프랑스혁명 개요
3.4. 나폴레옹의 의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나폴레옹의 생애와 업적
1.1. 유년기와 청년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1769년 8월 15일 코르시카(Corsica) 공화국 아작시오(Ajaccio)에서 태어났다. 그는 점잖은 성격을 가졌으며, 특히 플루타르코스(Plutarchos)의 책을 즐겨 읽었다. 1779년 아버지를 따라 프랑스로 건너가 브리엔느 유년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784년 파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만은 뛰어난 성적을 보였으며, 졸업 시험 성적은 58명 중 42위였지만, 통상 재적 시간이 4년인 곳을 불과 11개월 만에 필요한 과정을 모두 수료하였다. 1785년 아버지가 사망한 해 11월,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발랑스(Valance)에 주둔한 라 페르 연대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당시 프랑스의 포병대와 해군은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부대로 인정받고 있었다. 보나파르트 소위는 각종 사교계 모임에 초대받기도 하였으나, 그보다는 책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다. 그는 손에 잡히는 책은 모두 섭렵했고, 중요하거나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아이디어와 정보들을 기록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적기도 하였다. 물론 이런 태도는 동료들과 발랑스 사교계 사람들이 반기지 않았지만 나폴레옹은 그다지 신경 쓰지 않았다. 그는 군주와 백성의 계약에 대해서 이렇게 노트를 남겼다. "인간의 법이란, 군주가 그 법을 무시해 버리면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어 버린다. (중략) 그렇지 않을 경우에 백성들은 야만적인 상태에 빠지게 되고, 사회적 협약을 이행하지 못한 정부는 저절로 와해되어 버린다. 부연하자면 백성이 아무에게나 최고권을 부여하는 협약은 진정한 의미의 계약이 아니다."
1.2. 나폴레옹의 등장과 공화정기
프랑스 혁명 이후 공화정 설립을 반대한 주변국들의 잦은 군사적 위협이 있었는데, 이때 난세의 영웅 나폴레옹이 등장하여 연속적인 승전보를 기록하며 국민적 지지를 얻게 되었다. 나폴레옹은 프랑스 귀족 출신은 아니었다. 지중해에서 태어난 평민 출신이었다. 평민 출신인 그가 군인이 되어 프랑스의 왕당파 반란을 진압하고, 이후 주변국의 침입을 앞장서서 물리치면서 프랑스 내에서 나폴레옹의 위상은 치솟았다. 프랑스 혁명이 국왕과 귀족, 교회에 반발하여 시민을 중심으로 일어난 혁명인데, 나폴레옹의 출신 역시 귀족이 아닌 평민이기에 프랑스 혁명의 연장선에서 그가 영웅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그가 군인 신분으로 여러 나라를 격퇴하고, 유럽 전역을 장악했을 때까지는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지만, 그가 프랑스 혁명 후 혼란한 틈을 타 의회를 해산시키고, 제1통령의 자리에 앉고, 5년 뒤 스스로 황제가 되면서 나폴레옹은 영웅에서 독재자로 지위가 격하하였다. 프랑스 혁명은 왕 한 사람이 아니라, 다수에 의한 정치 체제인 공화정을 이룩한 혁명이었다. 민주주의와 같은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새로운 시대를 꿈꾸며 프랑스 시민들이 혁명을 일으킨 것인데, 국가를 위기로부터 구해내던 평민 나폴레옹이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고 하니, 독재 정권의 주체만 바뀐 꼴이 된 것이다. 이 때문에 나폴레옹은 그의 수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영웅인가, 독재자인가의 평가가 양...
참고 자료
엘리스테어 혼 著, 한은경 譯, 『나폴레옹의 시대』, 을유문화사, 2014.
조르주 보르도노브 著, 나은주 譯, 『나폴레옹 평전』, 열대림, 2008.
토드 피셔 外 著, 박근형 譯, 『나폴레옹 전쟁』, 플래닛미디어,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