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교육공학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적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하는 연구 분야이다. 이는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유아기는 개인의 전인적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이지만, 학습자 스스로 '학습'이라는 과정을 인지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의 교육공학적 접근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역사적 발전과정, 이론적 기초, 교수체제설계 등 교육공학의 핵심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이 단순한 기술의 도입이 아닌,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방식임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최근 연구 동향을 반영하여 교육공학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교육공학 개념 및 영역
2.1. 교육공학의 영역 구분
2.1.1. 설계
설계는 교육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설계 영역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떻게 학습을 도모해야 교육공학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지를 설계한다. 구체적으로 설계 영역에는 메시지 디자인, 교수체제설계,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 등이 포함된다.
먼저, 메시지 디자인은 글자, 그림, 색깔 등을 활용하여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시각적 요소들을 선정하고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교수체제설계는 전체 교수-학습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이다. 교수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교수내용과 방법을 사용할지 등을 상세히 구상한다.
또한 교수전략은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교수활동과 방법을 사용할지를 선택하고 구체화하는 것이다. 강의, 토론, 실습 등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특성 분석은 학습자의 연령, 선수지식, 흥미, 동기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이를 교수설계에 반영하는 것이다.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면 교육공학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종합하면, 교육공학의 설계 영역은 교수-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구안하고 계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해진다.
2.1.2. 개발
개발은 설계 영역에서 이뤄냈던 산실을 실제로 일궈내는 일환을 의미한다. 개발 영역의 산물로는 인쇄, 시청각, 컴퓨터 기반 기술 등이 있다.
인쇄기술은 글씨체, 글씨 색 등의 여러 요소를 개발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즉, 텍스트 기반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쇄자료에는 색상, 여백, 글자 크기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주목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개발한다.
시청각 기술은 텔레비전, 비디오 등을 통해 시각적, 청각적 요소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오디오 등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컴퓨터 기반 기술은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공유, 최신 프로그램 활용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웹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상현실 등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학습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이처럼 개발 영역은 설계 단계에서 구상된 교수·학습 방안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매체와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2.1.3. 활용
활용이란 설계와 개발을 통해 만들어진 매체나 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영역이다. 활용 영역에는 ASSURE모형(Heinich et al., 1989)처럼 매체 및 자료 효과적으로 선정하는 방법, 새로운 매체나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접근법을 연구하는 혁신의 보급, 새로운 교육공학적 방법을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시키기 위한 실행과 제도화, 교육공학 관련 규칙과 행위를 다루는 정책과 규제 등이 포함된다. 즉, 활용 영역은 교육공학 기술이나 도구를 실제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발된 교육용 프로그램이나 매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것인지, 그리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학습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이 활용 영역의 주요 내용이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 기술이 ...